원어 항목명 | Ким Хён То |
---|---|
한자 | 金顯土 |
영문 | Kim Hyeonto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러시아 연해주지방 |
시대 | 근대/개항기|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867년 11월 6일 |
---|---|
활동 시기/일시 | 1895년 경 |
활동 시기/일시 | 1906년 1월 |
활동 시기/일시 | 1910년 |
활동 시기/일시 | 1910년 11월 18일 |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강화 |
활동지 |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시 |
활동지 |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시 |
원어 항목명 | Ким Хён То |
1900년대 러시아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김현토(金顯土)는1867년 11월 6일 강화에서 출생하였는데 사망 시기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1895년 경 러시아로 이주했다. 러시아 이주 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 동양어학교(東洋語學校)의 한국어 교사로 활동했다. 정교(鄭喬)가 쓴 『대한계년사(大韓季年史)』에 의하면 1906년 1월 상트페테르부르크시에서 이용익(李容翊) 암살을 시도했다. 이후 1910년 안중근(安重根)이 순국한 뒤 추도회를 열고 안응칠 유족구제회를 조직하여 의연금을 모집했다. 1910년 11월 18일에 조직된 자선공제회의 위원으로 선임되었으며, 이후 공산주의를 받아들이고 극동고려공산당에 입당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