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金致甫 |
---|---|
영문 | Kim Chibo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러시아 연해주지방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859년 9월 17일 |
---|---|
활동 시기/일시 | 1908년 |
활동 시기/일시 | 1909년 |
활동 시기/일시 | 1910년 |
활동 시기/일시 | 1910년 12월 28일 |
활동 시기/일시 | 1911년 |
활동 시기/일시 | 1918년 |
활동 시기/일시 | 1919년 3월 26일 |
활동 시기/일시 | 1920년 3월 |
몰년 시기/일시 | 1941년 11월 18일 |
추모 시기/일시 | 1996년 |
출생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평양시 |
활동지 | 러시아 연해주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대한노인동맹단 단장 |
일제강점기 러시아 연해주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김치보는 1859년 평양에서 태어났다.
김치보는 1908년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로 이주하여 한민회(韓民會) 산하 청년회 회장으로 활동했다. 1909년 미주 국민회(國民會) 블라디보스토크 지회 회원으로서, 1909년 4월에 청년돈의회(靑年敦義會)를 조직하여 회장으로 일하였다. 1910년 일제의 한국 강점을 규탄하는 성명회(聲明會) 선언서에 서명하였다. 1910년 12월 28일 블라디보스토크서 조직된 자선공제회(慈善共濟會)의 회장으로 활동하였으며, 1911년에는 권업회(勸業會) 통신부장으로 활동하였다. 권업회가 해산된 후에는 『한인신보』 발기회 고문단장으로 활동하였고, 1918년 대한인노동회(大韓人勞働會) 회장에 선임되었다.
1919년 3월 26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 있는 김치보의 집에서 대한노인동맹단 창단식이 열려 김치보가 단장에 선임되었다. 1920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거행된 3·1절 축하 기념식에서는 재무부장으로 활동했다. 1920년 3월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시베리아 동포 사회에 대한 연통제(聯通制) 실시를 추진했는데, 이때 김치보는 부총판(副總辦)에 선정되었다.
김치보는 1920년 4월 신한촌 참변 이후 무기 수집, 애국 청년 군사 훈련 등을 전개하다가 일제에 체포되었으나 탈출하여 만주 훈춘(琿春)에서 살다가 1941년 사망하였다.
1996년 대한민국 정부는 김치보의 공적을 기려 건국 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