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면

원어 항목명 Ким Гюмийон
한자 金奎冕
영문 Kim Gyumyeon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러시아 연해주지방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880년 3월 12일
활동 시기/일시 1907년
활동 시기/일시 1919년
활동 시기/일시 1919년 11월
활동 시기/일시 1920년 10월
활동 시기/일시 1921년 3월
활동 시기/일시 1921년 7월
활동 시기/일시 1922년 9월
활동 시기/일시 1922년 11월
활동 시기/일시 1924년 5월
활동 시기/일시 1925년 5월
활동 시기/일시 1931년
몰년 시기/일시 1969년 2월 2일
추모 시기/일시 2002년
출생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북도 경흥
활동지 러시아 연해주
묘소 러시아 모스크바시
원어 항목명 Ким Гюмийон
성격 독립운둥가
성별
대표 경력 대한민국 임시 정부 교통총장
정의

1920년대 러시아 연해주 지역에서 한인 빨치산 부대 지휘관으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개설

김규면(金奎冕)[1880~1969]은 일제 강점기 교육 운동에 참여한 이후 연해주 지역에서 한인 빨치산 부대 지휘관으로 활동하였다. 김백추(金白秋)라는 가명으로도 활동하였다.

활동 사항

1880년 함경북도 경흥에서 태어난 김규면은 1907년 신민회(新民會)에 가입하여 신교육 운동에 참여하였다. 일제 강점 이후에는 기독교에 입교하여 목사가 되었다.

1919년 3·1 운동 후 북간도에서 독립 교회(獨立敎會) 성리교(聖理敎)를 창립하였으며, 성리교의 조직과 자금을 기반으로 신민단을 조직하고 단장에 선임되었다. 그 후 김규면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新韓村)으로 거점을 옮겨 한인사회당(韓人社會黨)과 대한신민단을 통합하여 한인사회당 부의장 겸 군사부위원장이 되었다. 1919년 11월 중순에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독립단(獨立團)을 조직하고 신한촌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다. 일제가 블라디보스토크를 기습하여 신한촌을 파괴한 4월 참변으로 독립단 단장 최재형이 일본군에 의해 피살되자 김규면은 독립단을 해산하고 쌍성(雙城) 방면으로 거점을 옮겼다. 1920년 10월 러시아 니콜스크-우수리스크 지방으로 이동하여 한인 무장 부대 혈성단(血誠團) 명예단장에 선임되었다. 1920년 12월에는 노령(露領)의 한인 대표를 모아 이만[현재 달네레첸스크]에 공산당 근거를 설치할 것을 협의했다. 또한 코민테른 제2차 대회에 한인사회당 대표자의 한 사람으로 참여했다.

1921년 3월 러시아 마사노프에서 대한의용군(大韓義勇軍) 전한군사위원회 결성에 참여하였으며, 코민테른 자금 가운데 4만 원을 수령하여 대한의용군 편제 및 보급에 사용했다. 1921년 5월 한인 무장 부대의 통일을 둘러싸고 분쟁이 발생했을 때 대한의용군 군사위원회를 대표하여 고려혁명군정의회(高麗革命軍政議會)와 맞서 싸웠다. 김규면은 1921년 7월 이만에서 대한의용군 군사위원회를 재결성하고 위원장이 되었으며, 1922년 9월 노령 한인 무장 부대가 고려혁명군(高麗革命軍)으로 통합될 때 참모부원으로 활동했다. 1922년 11월 연해주 해방 전투에 러시아 적군과 연계 속에 한인 연합 부대 군사위원으로 참전하여 백위군에 승리하였다.1923년 중국 상해에서 국민대표회(國民代表會)의 창조파(創造派)에서 군무총장으로 내정되었으나 참가하지 않고 중국 국민혁명에 참여하여 중국 노동자 파공운동(罷工運動)에 가담했다.1924년 5월 대한민국 임시 정부 교통차장 및 교통총장 대리에 선임되었다.1925년 5월 상해대학학생연합회(上海大學學生聯合會)가 배외 운동(排外運動) 차원에서 동맹 휴교 등 대대적인 시위운동을 계획하자, 윤자영과 함께 상해대학학생연합회를 방문하여 적극 후원할 뜻을 밝히고 학생연합회에서 작성한 전단을 상해 프랑스 조계에 살포하였다. 김규면은 1927년 장개석(蔣介石)의 반공 쿠데타로 국민 혁명이 좌절된 뒤 연해주로 돌아와 블라디보스토크의 한 서점에서 동양 서적 판매원으로 일하며 빨치산 농업조합의 생산 활동을 지원하였다. 1931년 조선공산당과 고려공산청년회 재조직 사건에 관여하였다. 이후 1934년부터 모스크바 그르임 등지에서 생활하다가 1969년에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김규면은 저서로 회상기인 『노병 김규면 비망록』을 남겼다.

묘소

김규면의 묘소는 러시아 모스크바시의 노보제비치 수도원에 있다.

상훈과 추모

2002년 대한민국 정부는 김규면의 공적을 기려 건국 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한국 사회주의운동 인명사전』(창작과비평사, 1996)
  • 임경석, 『한국 사회주의의 기원』(역사비평사, 2003)
  • 윤상원, 「러시아 지역 한인의 항일 무장 투쟁 연구(1918~1922)」(고려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2010)
  • 국가보훈처 독립유공자 공훈록(http://www.mpva.go.kr/narasarang/gonghun_list.asp)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