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金擎天 |
---|---|
영문 | Kim Kyungchoen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러시아 연해주지방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888년 6월 5일 |
---|---|
수학 시기/일시 | 1909년 |
수학 시기/일시 | 1911년 |
활동 시기/일시 | 1919년 6월 6일 |
활동 시기/일시 | 1919년 |
활동 시기/일시 | 1919년 |
활동 시기/일시 | 1920년 |
활동 시기/일시 | 1921년 중반 |
활동 시기/일시 | 1922년 |
활동 시기/일시 | 1923년 2월 |
활동 시기/일시 | 1924년 3월 |
몰년 시기/일시 | 1942년 1월 2일 |
추모 시기/일시 | 1998년 |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동 166번지 |
학교|수학지 | 일본 교토부 |
활동지 | 러시아 연해주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수찬 한인빨치산부대 사령관 |
1920년대 러시아 연해주에서 한인 빨치산 부대 지휘관으로 활동한 일본 육군사관학교 출신 독립운동가.
김경천은 1988년 서울 종로 사직동에서 태어났다. 1909년 일본 육군사관학교 23기생으로 입학하여 1911년 졸업하였다.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뒤 동경 제1 사단 기병 제1 연대에서 중위로 근무하던 중 1919년 동경 유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일으킨 2·8 독립 선언에 영향을 받아 병을 핑계로 귀국하였다. 김경천은 3·1 운동 때 무장 독립운동의 필요성을 자각하고 1919년 6월 6일 이청천과 함께 중국 만주로 망명하였다. 중국 안동현의 대한독립청년단(大韓獨立靑年團)에 가입하였지만 단장 안병찬이 체포되어 활동이 위축되자, 중국 서간도 유하현의 신흥무관학교를 찾아가 교관이 되었다. 이후 김경천은 무기 구입을 위해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로 망명하여 수찬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였다. 1920년 김경천은 마적단으로부터 한인들을 보호하기 위해 창해소년단(滄海少年團) 총사령관으로 마적 토벌에 앞장서서 명성을 얻었다.
1921년 중반 무렵 러시아 자유시로 이동하지 않고 러시아 연해주 수찬 지역에 남아 있던 한인 빨치산 부대들이 통합하여 연해주 한인총회를 조직하고 그 산하에 수찬 한인빨치산부대를 만들었는데, 김경천은 사령관을 맡았다. 1921년 11월 김경천은 수찬 한인빨치산부대를 이끌고 러시아 연해주 수찬 지역의 니콜라예프카로 이동하다 일본군과 러시아 백위군에게 포위되어 퇴각하였다. 퇴각하는 과정에서 김경천은 소수의 기병만을 이끌고 러시아 이만 지역으로 이동하였고, 다수의 병사들이 뿔뿔이 흩어지면서 결국 통합 수찬 한인빨치산부대는 와해되었다. 소수의 병력을 이끌고 퇴각한 김경천은 지휘관을 잃은 러시아 적군 빨치산 부대를 편입시켜 임시 혼성 부대를 조직하고 지휘관이 되었다. 일본군과 러시아 백군이 러시아 하바롭스크시 함락에 전력을 기울일 때 혼성 빨치산 부대를 이끌고 러시아 이만시를 공격하여 1922년 1월 일시 점령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 전투로 김경천은 러시아 빨치산 부대에서도 큰 명성을 얻어 1922년 여름 러시아 연해주의 혁명군사소비에트로부터 포시예트-훈춘지구 한인 빨치산 부대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시베리아 내전이 끝난 후 한인 빨치산 부대의 해산과 무장 해제가 결정된 후 1923년 2월 중국 상해에서 열린 국민대표회에 창조파 일원으로 참석하였지만 실망하고 1923년 4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로 돌아왔다. 1924년 3월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 본부를 둔 한족군인구락부를 조직하였다. 1930년대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 있는 극동고려사범대학에서 군사학과 일본어를 가르쳤다. 김경천은 1938년 간첩 혐의로 체포되어 1942년 유형지에서 사망하였다.
1998년 대한민국 정부는 김경천의 공적을 기려 건국 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