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姜相震 |
---|---|
영문 | Kang Sangchin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지역 | 러시아 연해주지방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출생 시기/일시 | 1897년 10월 11일 |
---|---|
활동 시기/일시 | 1919년 |
활동 시기/일시 | 1920년 |
활동 시기/일시 | 1921년 |
활동 시기/일시 | 1922년 2월 |
몰년 시기/일시 | 1973년 3월 1일 |
추모 시기/일시 | 1995년 |
출생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이원군 |
묘소 | 러시아 모스크바주 노보-프랴진스코예 공동묘지 |
성격 | 독립운동가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고려혁명의용군 헌병대장 |
1920년대 초 러시아 이만 부대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강상진(姜相震)[1897~1973]은 3·1 운동, 볼로차예프카 전투 참가자이다.
강상진은 1897년 10월 11일 함경남도 이원(利原)에서 태어났다. 1919년 3·1 운동에 참가한 후 만주 장백현(長白縣)으로 망명하여 대한독립군비단(大韓獨立軍備團)에 참여하여 활동하였다. 1921년 대한독립군비단이 러시아로 이동할 때 대원들을 인솔하고 이만으로 이동하여 고려혁명의용군의 헌병대장으로 참전하였다. 이만 지역에 집결한 강상진 부대의 인원은 1,000여 명에 달했다. 강상진 부대는 러시아 적군 정규군에 편성되어 일본군 및 러시아 백위군과의 전투에 참가하였다. 1922년 2월 볼로차예프카 전투에서 강상진은 6연대 1중대 소대장으로서 최초로 철조망 장애물 지대에 접근해 병사들과 지휘관들을 인솔하여 돌격을 감행하였다. 1923년 러시아에서 한인 빨치산 해산령이 내린 이후에는 교원, 인쇄공 및 농업에 종사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노동군으로 복무하였고, 이후 툴라시의 방위 산업체에서 근무하였다. 1973년 3월 1일 사망하였다.
강우건과 함께 서간도 지역 독립군 활동에 대한 기록인 강우건, 강상진의 수기를 저술하였다.
강상진의 묘소는 모스크바주 노보-프랴진스코예(Ново-Фрязинское) 공동묘지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