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 | Chae Young |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예술인 |
지역 | 러시아 연해주지방 우즈베키스탄 크질오르다주 크질오르다시 카자흐스탄 알마티주 알마티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출생 시기/일시 | 1906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2년 |
몰년 시기/일시 | 1981년 |
출생지 | 대한민국 경기도 이천시 |
거주|이주지 | 러시아 모스크바시 |
거주|이주지 |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시 |
거주|이주지 | 우즈베키스탄 크질오르다시 |
거주|이주지 | 카자흐스탄 알마티시 |
학교|수학지 | 러시아 모스크바시 |
활동지 | 러시아 연해주 신한촌 |
활동지 | 우즈베키스탄 크질오르다시 |
활동지 | 카자흐스탄 알마티시 |
묘소 | 카자흐스탄 알마티시 |
성격 | 배우|연출가 |
성별 | 남 |
1932년 러시아 연해주에서 창립된 고려극장의 창립 단원이자 고려인 최초의 전문 연출가.
채영[1906~1981]의 본명은 최계도이다. 채영은 1932년 연성용, 이함덕, 김진, 이길수와 함께 예술 전문 단체인 고려극장[처음엔 원동변강 조선극장이라는 명칭으로 시작]을 창립하였다. 그 후 모스크바 영화대학과 루나찰스키 극장예술대학 연출학부에 유학해 전문적인 연출가, 극작가, 배우 교육을 받았다. 채영은 루나찰스키 극장예술대학에서 세계적으로 명성을 떨친 푸토프킨의 연구실에서 수학하였다. 졸업 후 아르메니아 필름 영화사에서 근무하였고, 1934년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에 돌아와 고려극장 창립의 주역이 되었다. 고려극장에 근무하는 동안 약 70편의 연극을 무대에 올렸고 10여 편의 희곡을 썼다. 1981년 사망하였다.
채영의 희곡으로 「동해의 기적」[1934], 「장한몽」[1935], 「심청전」[1936], 「춘향전」[1940], 「돌이와 순단」[1955], 「아리랑」[1959], 「무지개」[1964], 「천리길」 등이 있다. 또한 고골리의 『검찰관』과 『원수』, 오스트롭스키의 『소나기』, 셰익스피어의 고전 『오델로』 등을 한글로 번역하였다.
채영의 묘소는 카자흐스탄 알마티시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