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 | Lee Kilsu |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예술인 |
지역 | 러시아 연해주지방 카자흐스탄 크질오르다주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출생 시기/일시 | 1910년 |
---|---|
수학 시기/일시 | 1935년 |
활동 시기/일시 | 1928년 |
활동 시기/일시 | 1932년 |
활동 시기/일시 | 1942년 |
몰년 시기/일시 | 1996년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52년 |
활동지 | 러시아 연해주 |
활동지 | 카자흐스탄 크질오르다주 |
성격 | 배우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고려극장 주연 배우 |
일제 강점기부터 러시아 연해주와 카자흐스탄 크질오르다주에서 활동한 고려극장 창립 단원인 연극 배우.
1910년 출생한 이길수는 1932년 채영, 연성용, 이함덕, 김진과 함께 예술 전문 단체인 고려극장[‘원동변강 조선극장’ 명칭으로 시작했음]을 창립했다. 이길수가 남긴 『조선극장 회상기(1927~1942년)』는 고려극장[조선극장] 초기의 형성 과정을 정확하게 증언하고 있어서 사료 가치가 있다. 이길수의 배우 경력은 9년제학교의 교원과 학생으로 구성된 연예부[연성용, 최길춘, 김해운, 한영혜, 채경신, 이길수]에서 출발했다. 1928년 봄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구락부에서 개최된 블라디보스토크 조선 소인예술단 연극경연대회에 당시 주요한 한인 소인연극단이었던 스탈린구락부, 9년제학교, 당학교, 노동학원의 연예부들이 참가했고, 이길수는 9년제학교의 소인예술단원이었다. 이길수는 1935년 소련 모스크바에서 연극대학을 졸업하고 고려극장에 연수실을 열어 고려극장 배우들에게 무대 기교와 스타니슬랍스키의 시스템을 가르쳤으며, 인민 배우 이함덕과 공훈 배우 최봉도 그리고 동료 배우들을 지도했다. 1942년 「추월색」을 각색하여 고려극장에서 공연했다. 독소 전쟁[1940]이 시작되자 고려극장의 작품들이 개편되었는데, 1941년 7월 7일 조국 방위에 관한 주제가 공연 목록에 올랐고, 전쟁을 다룬 노래와 시가 음악 공연으로 마련되었다. 배우들은 후송된 주민과 병원의 부상병들을 위해 순회공연을 했고, 극장 종업원들은 붉은 군대 지원 사업에 참가했다. 소련 서부 지역에서 전투가 시작되자 우크라이나 등에서 학교와 기관들이 카자흐스탄 크질오르다주로 옮겨 오게 되었다. 이길수는 음악회를 준비하였고, 「추월색」을 각색하고 채게도가 번역하게 해서 러시아어로 공연했다. 은퇴 후에 카자흐스탄 크질오르다주 한국말 라디오방송국에서 일하면서 고려극장의 연극 소식을 청취자들에게 전했다. 1996년 사망하였다.
이길수는 1952년 카자흐스탄 공훈 배우의 칭호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