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 | Kim Alla Ivanovna |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인물/예술인 |
지역 | 러시아 레닌그라드주 상트페테르부르크시 |
시대 | 현대/현대 |
출생 시기/일시 | 1921년 5월 1일 |
---|---|
활동 시기/일시 | 1935년~1939년 |
활동 시기/일시 | 1939년~1941년 |
활동 시기/일시 | 1941년 6월~1945년 5월 |
활동 시기/일시 | 1945년~1990년 |
몰년 시기/일시 | 1995년 1월 25일 |
출생지 | 중국 상하이 |
활동지 |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시 |
활동지 |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시 |
묘소 |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시 |
성격 | 예술인 |
성별 | 여 |
대표 경력 | 국립레닌그라드극단 무용수 |
국립레닌그라드극단의 무용 배우로 활동한 고려인 예술가.
김 알라 이바노브나[1921~1995]는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인 김만겸의 딸로 국립레닌그라드극단에서 활동하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레닌그라드 전투의 승전을 위해서 콘서트를 500회 이상 참여했던 무용 예술가이자 교육자였다.
김 알라 이바노브나의 아버지는 저명한 한국 사회주의 운동가, 계몽 운동가, 독립운동가인 김만겸(И. С. 세레브랴코프)[1886~?]이고 어머니는 김 세레브랴코바이다. 남편은 소련 무용수인 샬비 라우리이며 아들은 연극배우, 영화배우, 감독, 시인, 방송 진행자로 활동하는 피스히라우리 게오르기 샬보비치이다.
김 알라 이바노브나는 1921년 5월 1일 중국 상하이에서 출생하였다. 1935년부터 베라 마이이가 이끄는 ‘레닌그라드무용극장’의 배우로 활동하였고 1939년~1941년에는 국립레닌그라드극단 ‘그리오 카스텔리오’의 배우로 활동하였다. 소련 시기 아르메니아에서 객연 배우로 활동하던 중1941년 6월 22일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고, 김 알라 이바노브나는 1941년 6월부터 술리젠코(К. И. Шульженко) 여단에 소속되어 레닌그라드 전선 재즈 앙상블에 참가하였다. 당시 봉쇄된 소련 레닌그라드에서의 승전을 위해 콘서트에 500회 이상 참가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소련 정부로부터 ‘레닌그라드 수호 기념’ 메달을 받았다. 전후에 남편이 된 샬비 라우리와 듀엣 공연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김 알라 이바노브나는 마지막 순간까지 국립레닌그라드극단의 무용수이자 교육자로 살았고, 1995년 1월 22일 사망했다. 김 알라 이바노브나의 예술 정신은 후세대 카시얀 골레이좁스키, 나탈리 세레메티옙스카야의 작품에 반영되었다.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시 볼코프 묘지에 묻혔다.
김 알라 이바노브나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레닌그라드 수호 기념’ 메달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