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문화·교육/교육 |
---|---|
유형 | 인물/인물(일반) |
지역 | 러시아 모스크바주 모스크바시 |
시대 | 현대/현대 |
출생 시기/일시 | 1930년 6월 1일 |
---|---|
수학 시기/일시 | 1953년 |
수학 시기/일시 | 1969년 |
활동 시기/일시 | 1948년~1949년 |
활동 시기/일시 | 1958년~1962년 |
활동 시기/일시 | 1962년~1990년 |
활동 시기/일시 | 1985년~1991년 |
활동 시기/일시 | 1991년 |
활동 시기/일시 | 1985년~1995년 |
활동 시기/일시 | 1993년~2010년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75년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02년 |
몰년 시기/일시 | 2010년 12월 10일 |
출생지 | 러시아 치타주 치타시 |
거주|이주지 | 카자흐스탄 카라탈스크 지역 |
학교|수학지 | 러시아 연방 레닌그라드시[지금의 상페테르부르크시] |
학교|수학지 | 러시아 모스크바시 |
활동지 | 카자흐스탄 카라탈스크 지역 |
활동지 | 러시아 모스크바시 |
성격 | 정치학자 |
성별 | 남 |
대표 경력 | 러시아 외무부 산하 외교아카데미 아시아태평양연구센터 소장 |
러시아의 고려인 역사학자이자 정치학 전문가.
리 블라디미르 표도로비치의 예명은 리우효이다. 국립 모스크바대학교 겸임 교수이고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회원이었다. 러시아 외무부 산하 외교아카데미 아시아태평양연구센터 소장을 지냈다.
아버지는 리현명[1886~1942]이고, 어머니는 최소녀[1900~1936]이다.
리 블라디미르 표도로비치는 1930년 6월 1일 러시아 치타주 치타시에서 태어났다. 1953년 국립 레닌그라드 대학교[지금의 상페테르부르크 대학교]을 졸업하였고 1969년 모스크바에 있는 소련 과학아카데미 산하 동방학연구소에서 국제 관계학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48~1949년 카자흐스탄 공화국 레닌공산청년동맹 카라탈스크 지역위원회 제2 서기장, 1958년~1962년 『현대 동방학』[『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오늘』로 개명] 편집장, 1962~1990년 소련 과학아카데미 산하 동방학연구소 개발도상국 정치분과 분과장, 1985~1991년 국립모스크바대학교 겸임 교수, 1991년 이후 러시아 외무부 산하 외교아카데미 아시아태평양연구센터 소장을 지냈다. 사회적으로는 1985~1995년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산하 모스크바학술원 간부회 회원, 1993~2010년 러시아 외무부 산하 외교아카데미 학술회의 회원, 1985~2002년 러시아 최고사정위원회 정치학부문 전문가협의회 회원 등으로 활동하였다. 2010년 12월 10일 모스크바에서 사망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국제 관계와 민족 해방 운동사’, ‘한반도 정치 문화사’, ‘동방 제국가의 사회 정치 구조’, ‘세계 정치론’, ‘국제 관계 진단’ 등이었다. 100여 편 이상의 학술 논문과 저서를 발표하였는데 주요 논저로는 「카시미르에서 영미 제국의 제국주의적 팽창」[박사학위 논문, 상페테르부르크, 1953], 『미국 신식민주의 전략과 정책』[모스크바, 1972], 『동방 제국가의 사회 혁명과 권력』[모스크바, 1982], 『1930년대와 1940년대 러시아 한인 탄압 백서』[모스크바, 1992], 『20세기 평화 모드에서 한반도의 즉각적인 중립화』[모스크바, 1999], 『유라시아 동방의 지정학적 위치 속의 러시아와 한국』[모스크바, 2000], 『세계 예측 이론』[모스크바, 2000] 등이 있다.
1975년 소련 정부로부터 노동 메달, 2002년 러시아 외무부 창설 200주년 기념 메달을 수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