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역사/근현대 |
---|---|
유형 | 유적/터 |
지역 | 러시아 하바롭스크지방 니콜라옙스크나아무르나아무레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20년 |
---|---|
원어 주소 | Николаевск-на-Амуре, Хабаровский край, Россия |
영문 주소 | Nikolaevsk-na-Amure, Khabarovskiy kray, Russia |
성격 | 자치 기관 |
1910년대 러시아 하바롭스크주 니콜라예프스크에 거주하던 재러 한인들에 의해 조직된 자치 기관.
1919년 당시 러시아 연해주 니콜라예프스크[현재는 하바롭스크주 니콜라예프스크] 인구 2만 명 중 대부분은 러시아인이었고, 한인은 500명 중국인은 1,000명, 일본인은 350명 정도가 존재하였다. 이 가운데 트랴피친의 부대에 동조하여 박병길을 중심으로 한인 무장 부대가 조직되었다.
니콜라예프스크 한인거류민회는 연해주 니콜라예프스크나아무르 키타이스카야 슬라보드카[중국인촌]에 존재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1920년 3월, 5월의 니콜라예프스크 사건[니항 사건]으로 도시의 건물이 파괴되어, 현재는 폐허가 되어 흔적조차 남아 있지 않다.
니콜라예프스크 한인거류민회는 연해주 니콜라예프스크에 거주했던 한인들의 자치 조직으로, 3.1 운동 이후 한글 신문 『국민성』을 발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