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全韓義兵大會 |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러시아 아무르주 스보보드니시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발생|시작 시기/일시 | 1921년 3월 중순 |
---|---|
종결 시기/일시 | 1921년 3월 중순 |
발생|시작 장소 | 러시아 아무르주 자유시 |
종결 장소 | 러시아 아무르주 자유시 |
성격 | 군사 대회 |
1921년 3월 러시아 아무르주 자유시에서 열린 중국과 러시아에 있는 한인 무장 부대들의 통합을 위한 전체 대회.
니항 부대를 이끌고 있던 일리아 박은 러시아 공산당 극동국 한인부와 수차례 회의를 거치며 한인 무장 부대를 통합하기 위한 전한의병대회 개최에 합의했다. 전한의병대회는 극동 공화국과의 협의 등을 거치면서 실제로는 1921년 3월 중순 자유시에서 동북쪽으로 65㎞ 떨어진 러시아 아무르주 마자노보에서 개최되었다.
3일간 계속된 전한의병대회에서는 중국과 러시아령에 있는 한인 무장 부대들을 통합시켜 일본 제국주의 군대를 격퇴하기 위한 조직으로 전한군사위원회가 조직되었다. 전한군사위원회는 각 의병대의 의사에 따라 적법하게 조직된 군사 위원회라고 주장하며 극동 공화국 군부와 교섭에도 나섰다. 그러나 전한의병대회로 결성된 전한군사위원회에는 러시아 아무르주 자유시에 주둔했던 자유대대의 의사는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간도에서 온 독립군 부대들을 분열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그리고 자유대대가 코민테른 극동 비서부와 함께 설립한 고려혁명군정의회가 등장하면서, 통합의 주도권을 두고 대립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