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同義會 |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러시아 연해주지방 |
시대 | 근대/개항기 |
설립 시기/일시 | 1908년 4월 |
---|---|
변천 시기/일시 | 1908년 |
성격 | 독립운동단체 |
설립자 | 최재형|안중근|이범윤|이범진|이위종 |
1908년 4월 러시아 연해주 연추에서 결성된 재러 한인 항일 독립운동 단체.
동의회는 교육에 의한 구국 정신의 함양과 실력 양성, 그리고 단체 조직에 의한 동포의 일심(一心) 동맹을 제일의 방침으로 삼아 독립을 위한 무장 투쟁을 목적으로 하였다.
모스크바에 있던 이범진은 의병 봉기가 활기를 띄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고 1만 루블과 함께 아들 이위종을 블라디보스토크로 보내 의병 활동을 추진할 조직을 결성하도록 지시하였다. 1908년 4월 연추의 최재형의 집에서 수백 명이 참가한 가운데 동의회 총회가 개최되었다. 발기인은 이위종을 비롯하여 최재형, 이승호, 이군보, 엄인섭, 안중근, 백규삼, 강의관, 김길룡[김기룡], 조순서, 장봉금, 백준성, 김치여 등이었다. 최재형이 총장, 이범윤이 부총장, 이위종이 회장, 엄인섭이 부회장에 선출되었다. 서기는 백규삼, 안중근 등 발기인 전원이 평의원으로 선출되었다. 동의회는 1908년 5월 10일자 『해조신문』에 취지서를 공포하였는데 “교육에 의한 구국 정신의 함양, 지식 함양과 실력 양성, 단체 조직에 의한 일심 동맹을 제1의 방침”으로 세웠으며 “의혈, 무장 투쟁의 뜻”을 밝혔다. 자본금은 이위종이 가져온 1만 루블, 최재형이 출자한 약 13,000루블, 수청 방면의 동포들이 낸 6,000루블이었다. 각지 동포 사회에서 기증받은 군총이 약 100정이 있었다. 본부는 연추에, 지회는 블라디보스토크에 두었으며 1908년 여름 국내 진공 작전 시 성과도 있었다.
연해주 의병의 국내 진공 작전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유명무실화되었다. 동의회가 가지고 있던 의미는 이후 십삼도의군의 결성으로 이어졌다.
연해주에서 활동하던 애국지사들을 망라하여 의병 세력을 결집, 국내 진공 작전을 벌인 항일 독립운동 단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