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혁명군정의회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러시아 이르쿠츠크주 이르쿠츠크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21년 5월 18일
해체 시기/일시 1921년 8월
개칭 시기/일시 1922년
최초 설립지 러시아 이르쿠츠크시
주소 변경 이력 러시아 아무르주 자유시
주소 변경 이력 러시아 이르쿠츠크시
주소 변경 이력 러시아 하바로프스크시
성격 독립군부대
설립자 이르쿠츠크 국제공산당 동양비서부
정의

1921년 러시아 이르쿠츠크시에서 고려공산당 동양비서부의 지원을 받아 결성된 한인 무장 독립군단.

개설

치타의 한인부와 사할린 군대가 주도한 무장 독립운동 최고 지휘 기관 설립 운동에 대립하여 대한국민의회자유대대를 중심으로 한인 군대 통일 운동이 진행되었다. 대한국민의회자유대대는 1921년 1월에 창설된 이르쿠츠크 국제공산당 동양비서부장인 슈미야츠키의 지도와 후원을 받았다.

당시 슈미야츠키는 원동 지역에서의 모든 당, 혁명 운동 및 군대에 관한 책임 권한을 부여받았다. 슈미야츠키의 동양비서부는 1921년 3월 중순경 임시고려혁명군정의회를 결성하였다. 임시고려혁명군정의회는 총사령관에 갈란다라쉬빌리, 부사령관에 오하묵, 군정위원에 김하석, 채성룡, 임시 참모장에 유수연을 임명하였다. 소비에트 제5군단 산하 캅카스 기병 600여 명과 합동 민족 연대 내 한인 부대 600여 명이 부속되었다.

1921년 5월 4일~5월 17일 이르쿠츠크에서 개최된 고려공산당 창립 대회 다음 날 고려공산당 중앙 간부의 추천으로 동양비서부가 승인한 정식 고려혁명군정의회가 조직되었다. 총사령관에 갈란다라쉬빌리, 군정 위원에는 유동열, 최고려가 임명되었다. 1921년 6월초 아무르주의 자유시로 이동하였고, 한인군사위원회 산하 대한의용군의 통합에 나섰으나 대한의용군 측은 이에 반발하였다. 고려혁명군정의회는 강제적인 무장 해제를 결정하였다. 6월 28일 장갑차, 대포, 기관총들로 무장한 원동공화국 제2군단 제29연대 1만여 명의 고려혁명군정의회대한의용군의 무장 해제를 감행함으로써 자유시 참변을 야기했다.

설립 목적

대한국민의회와 그 산하의 자유 대대를 중심으로 한인 독립군의 통합과 최고 지휘 기관 설립이 목적이었다.

변천

고려혁명군정의회는 자유시 참변을 치르고 국제공산당 비서부의 명령에 따라 1921년 8월 5일 자유시를 떠나 8월 그믐께 이르쿠츠크에 도착하였다. 도착한 후 고려혁명군정의회는 해체되었으며, 산하 군인 1,745명은 소비에트 정부 소속 제 5군단에 편입되어 1개 여단을 편성하였다. 여단장은 갈란다라쉬빌리, 군정 위원장은 박승만이 선임되었다. 1921년 10월 3일 여단장 갈란다라쉬빌리가 사임하고 오하묵이 여단장에 취임하였다. 여단 내에 정치부를 신설하고 부장에 채동순이 임명되었다. 또한 6개월 교습 기간인 사관 학교를 설립하였다. 사관 학교의 임시 교장에는 유동열, 교관에는 이청천, 채영, 김승빈, 군정 위원장에는 선우정이 선임되었다. 동년 10월 15일 유동열이 교장에서 사임하고 이청천이 겸임하였다. 고려혁명군정의회는 1922년 연대장에 오하묵, 군정 위원장 박승만을 중심으로 한 고려특립연대로 재편되었다. 고려특립연대는 대략 800명이었으며, 1922년 8월 15일 이후 소비에트 군부, 원동공화국 군부와의 협의하에 원동 하바롭스크로 이동하였다.

의의와 평가

러시아 지역에서 활동하던 이르쿠츠파 중심으로 결성된 무장 독립 단체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 반병률, 『1920년대 전반 만주·러시아지역 항일무장투쟁』(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 윤상원, 「러시아 지역 한인의 항일 무장 투쟁 연구(1918~1922)」(고려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2010)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