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역사/근현대 |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카자흐스탄 |
시대 | 현대/현대 |
소비에트연방 정부나 우즈베키스탄 정부로부터 공훈 활동가 칭호를 받았으며 관료로 선출되어 정부 기관에서 활동한 카자흐스탄 출신 고려인.
스탈린 통치 시대를 포함해 소련 사회에서 강제 이주 등으로 탄압을 받았던 소수 민족 중 고려인처럼 모든 장애물을 극복하고 현저한 성과를 낸 민족도 드물다. 카자흐스탄 고려인들은 단기간에 현지에 적응하면서 생활이 안정되어 갔으며, 그 성장에 비례하여 국가 권력 기관에서도 요직을 차지하였다.
김 Yu.(Ким Ю. А.)는 헌법위원회 위원장, 법무부 차관을 역임했으며 김 G.(Ким Г. В.)는 대검찰청 부청장, 법무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육가공 유제품(乳製品) 산업부 차관으로 황 V.(Хван В. И.)가, 교통부 차관에 허가이 A.(Хегай А. Ю.)가, 수자원이용관리위원회 위원장으로 허가이 A.(Хегай А. Ю.)가 임명되어 활동하였다.
카자흐스탄 고려인들은 지방 행정 기관인 주(州), 구(區), 시(市) 단위 행정부에서도 지도자급으로 근무하였다. 그 대표적인 지역이 카라탈 지구, 우스치-카멘노고르스크, 침켄트, 크질오르다, 테켈리 등이다.
카자흐스탄 고려인들은 의회 기관인 지방 행정기관 의회의 대의원으로도 당선되었다. 이처럼 적극적이고 개방적인 활동을 추구한 카자흐스탄 고려인 사회는 소련 최고회의 의원 1명, 카자흐스탄 최고회의 의원 11명을 배출하였고, 주 의원 1명, 시 의원 10명 그리고 구 의원 10명을 각각 배출하였다. 독립 이후 시기에 상원 의원으로 김 G.와 채 Yu.(Цхай Ю. А.)가 당선되었고, 카자흐스탄 최고회의에 김 Yu.가 선출되었다. 그리고 알마티, 카라타우, 탈디코르간, 아크몰라, 침켄트, 타라즈, 사트파예프 등의 시(市)와 그 밖의 구(區) 등에서도 고려인이 의원으로 선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