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Иман|Дальнереченск |
---|---|
영문 | Ima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러시아 연해주지방 달네레첸스크시 |
시대 | 근대/개항기|근대/일제 강점기 |
개설 시기/일시 | 1859년 |
---|---|
개칭 시기/일시 | 1917년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898년 |
원어 항목명 | Иман|Дальнереченск |
원어 주소 | Россия, Приморский край Дальнереченск |
1898년부터 재러 한인들이 정착한 러시아 연해주의 국경 도시.
1898년에 프리아무르주 총독으로 취임한 그로데코프(Н. И. Гродеков)는 5년 이상 러시아에 살면서 귀화를 원하는 한인들에게 귀화를 허용하는 것과 동시에 일시적으로 체류하고 있는 한인들에게는 이만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1914년 1월에 권업회 이만 지회가 설치되었으며 이만 지역의 권업회원 수는 417명이었다. 1919년 11월 경에 이만시 칼린스키 구역에서 황하일이 박공세, 김덕보, 이원해, 김 표트르 등 15명의 동지들과 발기하여 황하일을 대장으로 이만 군대가 창설되었다. 1920년 4월에 극동공화국이 설립되면서 이만 지역은 우수리강을 경계로 이만 이남은 백위파 정권과 일본군이, 이북 지역은 극동공화국 소속의 도시가 되었다. 1920년 10월에 일본이 경신참변을 일으키자 대한독립군은 연해주로 넘어와 이만 지역에 집결했다. 1921년 12월 초에 우수리 철교 이남에 집결해 있던 백군이 이만으로 진격하여 이용(李鏞)이 이끄는 대한의용군과 전투를 벌였다. 전투 과정에서 이용 부대의 한운용 중대는 백군에게 600명 이상의 사상자라는 심각한 타격을 입혔지만 대한의용군도 마춘걸, 김치율, 김덕현을 제외하고 전멸하였다. 겨울철이라 3일 동안 전사자를 수습하지 못하여 이만 각지의 농민들이 임시로 장례를 치렀다. 독립군은 1922년 4월 6일 전사자의 시신을 수습하고 추도회를 가졌다.
우수리강, 볼쇼이우수르카강, 말리노프카강이 만나서 형성된 분지에 있다. 시호테알린산맥과 휴화산 살카가 가까운 곳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