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영동

원어 항목명 Синенгоу|Николаевка
한자 新營洞
영문 Sinengou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러시아 연해주지방  
시대 근대/개항기|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868년
변천 시기/일시 1937년
원어 항목명 Синенгоу|Николаевка
원어 주소 Россия, Приморский край, Партизанский район
정의

1868년 이후 1937년까지 러시아 연해주 파르티잔스크 지역에 있었던 재러 한인 정착 마을.

개설

한창걸박진순 등의 고향으로 한창걸, 김경천 등이 주도한 수청 한인 빨치산의 활동 근거지 가운데 한 곳이었다.

명칭 유래

박진순의 장인인 김공심[김니콜라이]에 의해 개척된 마을인 까닭에 니콜라예프카로 불렸다.

형성 및 변천

러시아 연해주 신영동의 형성 시기와 관련하여 김광훈과 신성욱이 작성한 『아국여지도(俄國輿地圖)』에서는 신영동의 형성 시기를 ‘기사흉년·경오도강[1869~1870년]’ 이후로 보고 있다. 러시아 측 자료에는 1868년에 한인들이 이주해 온 것으로 기록하고 있어 차이가 있다. 한인들의 이주 초기인 1880년대에 신영동에는 263명이 거주하고 있었다. 『아국여지도』에 따르면 신영동 마을을 개척한 최초의 한인 이주민들이 거처를 잡은 토성(土城)은 러시아 학계에서 ‘니콜라예프카성’이라 이름 지은 발해 성터이다. 발해 성터에 자리를 잡은 첫 한인 이주민들은 ‘기사흉년·경오도강’ 때에 함경도 국경 지방에서 지신허 마을로 월경했다가 추풍(秋豊)[Suifen]을 거쳐 온 이주민들이었다. 러시아 정부는 신영동으로 들어온 이주 한인들을 환영하며 정책적 지원을 했다. 러시아 정부는 병영을 설치하여 마적들의 공격에 대비했다. 다른 이주 한인 마을 개척도 러시아 병영[초소]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 연해주에서 한인 마을 개척 시에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이다.

1937년 신영동 마을의 한인들은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되었다.

자연환경

신영동 마을은 동쪽 산의 계곡에서 수찬강으로 흘러내리는 신영거우강 계곡[新英溝]에 있었고, 수찬강을 사이에 끼고 오늘날의 파르티잔스크시에 해당하는 석탄광 건너편에 자리하였다.

현황

파르티잔스크 남동쪽 10㎞ 지점에 있는 니콜라예프카 마을 일대가 신영동이다. 마을 복판에는 연자방아 2기가 거의 원형대로 남아 있고, 10여m 깊이의 한인들이 파 놓은 우물이 완벽한 형태로 보존되어 있다.

참고문헌
  • 『국외 독립운동 사적지 실태 조사 보고서-2000~2001년도: 중국 만주 지역·러시아 원동 지역·미국 지역』(국가보훈처, 2001)
  • 반병률, 「러시아 원동 지역 초기 한인 마을 형성과 러시아의 정책에 대한 재해석」(『역사문화연구』40,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1)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