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Уссурийск |
---|---|
한자 | 蘇王領 |
영문 | Ussuriysk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러시아 연해주지방 우수리스크시 |
시대 | 근대/개항기|근대/일제 강점기 |
개설 시기/일시 | 1866년 |
---|---|
개칭 시기/일시 | 1898년 |
개칭 시기/일시 | 1935년 2월 20일 |
개칭 시기/일시 | 1957년 |
원어 항목명 | Уссурийск |
면적 | 173㎢ |
인구[남/여] | 170,660명[2017] |
1864년 갑자도강(甲子渡江)으로부터 시작하여 몇 년 동안 러시아의 각처로 이주한 한인 가족의 수가 500여 호가 넘는다. 한인들은 러시아 연해주의 연추, 목허우[포시예트], 지신허 등지로 이주를 했는데 추위 등으로 인해서 아사한 사람들이 많았다. 생존하기 여러워진 러시아 연해주 지신허 지역의 빈민들이 러시아 연해주 추풍 지역과 블라디보스토크를 떠돌다가 러시아 연해주 소왕령에 도착하였다. 한인들은 러시아인에게 요청하여 러시아 병사가 주둔했던 토굴에 거주하며 땅을 개척하기 시작한 후 집단을 이루며 살기 시작하였다. 1917년 5월 한족의 제1차 대표자 대회가 소왕령에서 개최되어 전로한족회가 조직되었으며, 『청구신보』도 소왕령에서 간행되었다. 전로한족회 제2차 총회 역시 소왕령에서 개최되었다. 1920년 일본군에 의한 연해주 4월 참변 당시 최재형, 황경섭, 김이직, 엄주필이 체포되어 소왕령에서 처형되었다. 1922년 연해주가 일본군으로부터 해방되자 한인들은 소비에트 건설 사업에 매진하였다. 니콜스크우수리스키 고려사범전문학교를 세워 민족 문화를 유지하려는 노력을 하였다.
우수리스크의 기후는 몬순기후이다. 습도가 매우 높으며 눈이 많이 내린다. 1월 평균 기온은 -13.6℃이고 여름엔 20.9℃이다.
우수리스크 일대에는 4월 참변 희생자 추모탑, 이상설 유적지, 우수리스크 고려사범전문학교, 발해 절터 및 주춧돌, 산운 장도빈 기념비 등이 남아 있다. 최근에는 우수리스크 북동쪽 17㎞ 지점에 동북아평화연대에 의한 고려인 우정 마을이 만들어졌다. 2004년에는 고려인문화센터가 설립되었다. 우수리스크시에서는 매년 4월 5일에 4월 참변 추도식이 열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