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Синельниково |
---|---|
한자 | 大甸子 |
영문 | Sinelinikovo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러시아 연해주지방 |
시대 | 근대/개항기|근대/일제 강점기 |
원어 항목명 | Синельниково |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재러 한인들이 모여 살던 추풍4사 가운데 한 곳인 러시아 연해주의 한인 마을.
대전자(大甸子) 마을, 즉 시넬니코보는 러시아 연해주 우수리스크시에서 서북쪽으로 40여㎞ 떨어진 지점에 있다. 한인 여성 혁명가 김 알렉산드라 스탄케비치의 고향이며, 한인 민족 학교인 동흥학교(東興學校)의 소재지이기도 하다. 부유한 입적 재러 한인들의 마을이었던 코르사코프카, 크로우노브스카, 푸칠로브스카, 시넬니코보 마을, 이른바 추풍4사 가운데 한 곳이다.
시넬니코보 마을은 수이푼강 상류의 강 양쪽에 두 개의 마을로 나누어져 있었다. 강 이북에 위치했던 마을이 ‘첫 번째 시넬니코보 마을’이라는 뜻의 ‘뻬르보예 시넬니코보(Pervoe Sinel’nikovo)’, 강 이남에 위치했던 마을이 ‘두 번째 시넬니코보 마을’이란 뜻의 ‘후타로예 시넬니코보(Vtoroe Sinel’nikovo)’이다. 한인들은 후타로예 시넬니코보 마을을 용산동이라고도 불렀다. 시넬니코보 마을 주변의 수이푼강 유역은 토지가 비옥하고 넓어 한인들은 영안평(永安坪), 대전자(大甸子) 또는 대지안현(大地安峴)이라고 불렀다. 영안평 또는 대전자는 두 개의 시넬니코보 마을과 한인들이 ‘영안평 남숭전’이라고 불렀던 포크로브카(Pokrovka) 마을을 총칭하는 명칭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시넬니코보는 수이푼 강가에 있으며, 중국 국경 쪽으로 산으로 둘러 싸여 있어 농사도 잘되고 안정된 지역이었다.
라즈돌리나야강[수이푼강의 현재 명칭]을 사이에 두고 북쪽과 남쪽으로 각각 시넬니코보1과 시넬니코보2가 있다. 광활한 평원 지대에 자리한 마을로, 중국의 국경 도시 산차코우[三岔口]에서 불과 20여㎞ 떨어져 있을 정도로 중국과 가까운 지역에 위치해 있다. 시넬니코보1, 시넬니코보2 두 마을 모두 한인들이 생활하였던 대전자 마을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시넬니코보2 마을에서 서쪽으로 난 도로를 따라 2㎞ 정도 떨어진 노변 잡초 속에 연자방아 아랫돌과 윗돌이 놓여 있다. 시넬니코보1 마을에서는 지난 2015~2016년 발해 보루가 발굴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