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원어 항목명 在日本朝鮮人総連合会
한자 在日本朝鮮人總聯合會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일본 도쿄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55년 5월 25일
현 소재지 일본 도쿄도
원어 항목명 在日本朝鮮人総連合会
성격 재일조선인단체
정의

1955년 일본에 결성된 재일조선인 사회의 대표적인 단체.

개설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는 일반적으로 총련, 조총련, 조선총련[조련] 등으로 약칭된다. 1955년 결성 이후 재일조선인 사회의 대표적인 단체이다.

설립 목적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는 1955년 5월 25일 결성되었고, 재일조선인의 조국의 평화통일, 재일조선인의 민주, 민족적 권리 옹호, 민족교육 실시, 북일 친선 등과 세계평화에의 공헌이 강령으로 채택되었다. 결성 당시에는 한덕수 의장 중심으로 집단지도체제로 출범했다. 당시 주목되는 강령 제1조에는 ‘재일 조선 동포’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정부’의 주위에 총 결집하여 ‘조국’남북 동포와의 연계와 단결을 긴밀하고 강고하게 한다고 했다.

변천

1945년 해방과 함께 재일조선인은 전국적인 규모의 조직인 재일본조선인연맹(在日本朝鮮人聯盟)[약칭 조련]을 결성했다. 재일본조선인연맹과 1951년 1월 9일 결성된 재일조선통일민주전선(在日朝鮮統一民主戰線)[약칭 민전]이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의 전신이라고도 한다. 1951년 당시 조직된 민전조국방위위원회(祖國防衛委員會)[약칭 조방위]를 조직하기도 했다.

이후 재일조선통일민주전선은 1950년대 전반기 재일조선인 사회에서 영향력을 갖고 있었는데, 재일조선통일민주전선은 해소되었고 이후 1955년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가 결성되었다. 이런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결성의 계기를 재일조선통일민주전선 제19회 중앙위원회에서 한덕수가 ‘재일조선인운동의 전환에 대해서’라는 제목으로 연설하여 재일조선인운동의 방향과 투쟁 방법을 밝힌 데에서 찾기도 한다. 이 과정에는 일본 공산당과 재일조선인 운동과 북한 사이의 여러 요인이 작용했다. 이후 민대파의 해산과 ‘조선인’ 당원의 당적 이탈 등으로 재일조선인의 운동은 일본 공산당과 일정하게 거리를 두게 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결성 이후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는 재일조선인 관련 사항, 한반도 문제, 일본 사회의 현안 등에 여러 의견을 개진하고 활동을 전개했다. 10년 단위로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의 활동을 보면, 먼저 결성 3년 이후인 1958년 5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제4회 전체회의가 주목된다. 제4회 전체회의로부터 한덕수의 1인 의장체제로 이행했다고 보인다. 그리고 활동가가 3명 이상 있는 단체나 조직에 ‘학습조’가 조직되었다. 특히 제4회 전체회의 전후에는 북한으로부터 교육 원조 지원 송금이 시작되었다, 동시에 북한 귀환문제가 제기되어 약 93,340명이 북한으로 갔다.

1960년대 초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조직이 확립되는 시기라고 보인다. 일본 전국 각지에 지방 본부가 조직되었다. 그리고 조청(朝淸)과 신문사인 조선신보사가 조직되었다. 민족교육과 관련해 보면, 교육 원조 자금의 지원을 받아 유치원, 초중고, 그리고 조선대학에 이르는 150개 민족학교의 조직이 형성되었다.

북한 체제의 변화에 따라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도 변화의 내용이 보인다.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도 김일성 주체사상을 유일한 지도사상으로 했고 김병식이 그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문제는 한덕수와 김병식이 대립하고 결국 실각되자, 이로 인해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조직의 일정한 개폐가 있었다. 1970년대 중반 재일조선인 사회는 한국으로 성묘단이 간 모국 방문사업이 추진되었다. 모국 방문사업은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구성원에게는 작지 않은 충격이었다.

1980년대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는 조직의 변화와 다양한 모습이 보이게 된다. 한덕수의 영향력이 다시 강화되었는데, 여기에는 ‘김정일의 지도’가 작용했다고 본다. 김정일의 지도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중앙 조직의 변화를 가져와서 허종만이 책임부의장으로 승격되었다. 1980년대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는 상공인들에 대한 헌금 강요의 일이 있었다.

1990년대 이후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조직에는 북한의 식량 위기, 일본인 납치 문제, 조긴[朝銀] 문제 등이 작용했다. 여러 가지 어려움은 2000년대 이후 여러 지형에서 나타나서, 2007년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중앙본부 매각 문제가 발생하기도 했다. 특히 ‘조선 학교 무상화 교육 문제’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민족교육의 체제에 큰 타격을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새로운 세대 중심의 재일조선인 사회 속 역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한다.

현황

24회의 전체대회를 통해 활동한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는 2001년 의장이었던 한덕수가 사망한다. 이후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는 서만술, 허종만 중심으로 체제가 변화되었다. 이런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는 조선신보사를 통해 기관지로 『조선신보』를 발행하고 있다. 조직은 중앙기구와 지방본부, 지부, 분회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기구는 전체회의, 중앙위원회, 중앙상임위원회로 되어 있다. 위원회에는 의장, 제1부의장, 책임부의장, 부의장 등이 있다. 산하 단체로는 재일본조선인상공인동맹, 재일본조선인노동자동맹, 재일본조선인민주여성동맹 등을 비롯해 재일본조선인인권위원회, 재일본조선인평화통일위원회 등의 위원회가 있다.

참고문헌
  • 진희관, 「조총련연구: 역사와 성격을 중심으로」(동국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1999.)
  • 정진성, 「조총련 조직 연구」(『국제지역연구』14-4,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5)
  • 김인덕, 「재일동포가 걸어온 두 갈래 길, 민단과 조총련」(『한일관계 2천년 보이는 역사, 보이지 않는 역사』, 경인문화사, 2006)
  • 『記録 在日朝鮮人運動朝鮮総 連50年』(呉圭祥, 有限会社RAS, 2005.)
  • 『총련』(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조선신보사, 2005.)
  • 朴斗鎭, 『朝鮮総連: その虚像と実像』(中央公論新社, 2008)
  • 『재일코리안사전』(정희선 외 옮김, 선인, 2012)
  • 『記錄. 朝鮮總聯 1955.5-2015.5』(呉圭祥, 2015.)
  • 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
  • 『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사전』(한국학중앙연구원, 2001)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