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望郷の殺人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작품/문학 작품 |
지역 | 일본 |
시대 | 현대/현대 |
저자 생년 시기/일시 | 1905년 10월 13일 |
---|---|
저자 몰년 시기/일시 | 1997년 |
편찬|간행 시기/일시 | 1960년 |
원어 항목명 | 望郷の殺人 |
성격 | 소설 |
작가 | 장혁주 |
1960년에 출간된 재일 한인 1세대 작가군을 대표하는 장혁주의 소설.
장혁주[1905~1997]는 재일 한인 1세대를 대표하는 작가이다. 경상북도 대구에서 태어났으며 본명은 장은중(張恩重)이다. 경상남도 경주의 계림 보통학교와 간이 농업 학교 재학 중 역사와 일본어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장혁주는 스무 살 무렵 아나키스트 단체에 가입한다. 사립 보통학교 교원, 공립 보통학교 촉탁 교원으로 재직하다가 교원 검정고시에 합격하여 1년간 보통학교 교원을 지내기도 하였다. 1932년 4월 잡지 『개조(改造)』의 헌상 소설에 식민지하의 농민의 고난과 분노를 그린 「아귀도(餓鬼道)」가 입선하고 야스타카 도쿠조[保高徳蔵]의 『문예 수도(文芸首都)』 동인이 된다. 1933년 개조사(改造社)에서 소설집 『권이라는 남자[権という男]』를 출판한다. 이 무렵 한글로도 소설을 써서 『동아일보』에 발표하였으며 일본 여성인 노구치 하나코[野口はな子]와 결혼한다. 1938년 장혁주 각본의 「춘향전(春香伝)」이 무라야마 도모요시[村山知義]의 신협 극단에 의해 일본과 조선에서 순회공연 된다. 1939년 대륙 개척 문예 간화회(大陸開拓文芸懇話会)에 참가하는 등 서서히 일본의 전시 체제에 협력하는 활동을 하였다. 1943년에는 황도 조선 연구 위원회(皇道朝鮮研究委員会)의 위원이 된다. 1944년 일본의 정책을 옹호하는 소설집 『이와모토 지원병[岩本志願兵]』을 출판한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인 아내와 함께 해방을 맞이한 장혁주는 1952년 일본에 귀화하여 노구치 미노루[野口稔]라는 이름을 얻는다. 1952년 출판된 『오호조선(嗚呼朝鮮)』이 장혁주라는 필명을 쓴 마지막 작품으로, 그 다음에 집필한 『무궁화(無窮花)』는 노구치 가쿠추[野口赫宙]라는 일본 필명으로 출판된다. 이후 역사 소설과 미스터리 등 다채로운 영역의 작품을 남겼다. 만년에는 미국과 중동으로 취재 여행을 하여 영문 소설을 발표하는 등 왕성하게 활동하였다.
일본인 경관 하스미 가즈오[蓮見和夫]는 오랜 기간 재일 조선인 사회의 연속 살인 사건을 파헤친다. 수사 과정에서 연속 살인이 한반도의 분단과 재일 조선인 사회 내의 사상적 대립으로 인한 사건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밀수업자인 재일 조선인이 돈과 치정에 얽혀 저지른 범행임이 밝혀지고 경찰의 수사망을 벗어나기 위해 재일 조선인 사회의 갈등과 대립을 이용한 사건으로 결론이 난다. 재일 조선인 6명이 계속해서 살해되는 사건을 중심축으로 재일 사회 내부의 대립과 분열을 그리고 있다.
『망향의 살인[望郷の殺人]』은 1952년 일본으로 귀화한 장혁주(張赫宙)가 노구치 가쿠추[野口赫宙]라는 이름으로 발표한 추리소설 기법의 작품이다. 태평양 전쟁 직후 일본 사회의 혼란한 시기를 배경으로 재일 조선인 사회에서 벌어지는 연속 살인 사건과 동포 사회의 사상적인 대립, 갈등과 분열, 친일 등을 그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