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任務 |
---|---|
한자 | 任務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작품/문학 작품 |
지역 | 일본 |
시대 | 현대/현대 |
저자 생년 시기/일시 | 1917년 |
---|---|
저술|창작|발표 시기/일시 | 1961년 |
편찬|간행 시기/일시 | 1984년 |
원어 항목명 | 任務 |
성격 | 소설 |
작가 | 이은직(李殷直) |
부제가 ‘○○고급학교 ○○통학반 김기태 학생의 수기’라고 기재되어 있듯이, 민족 학교에 다니는 학생이 재일조선인총연합회 조직에 참여하지 않은 동포들을 조직으로 포섭하기 위한 ‘공백 일소 공작 활동’을 ‘모범적으로’ 수행한 과정을 구체적으로 서사화하고 있다. 수기의 형태를 빌고 있는 만큼 공작 대상이 되는 인물들의 면면에 대한 기술과 주인공의 자기 반성적 고백들이 아주 자세히 기록되어 있는 보고서 형태의 서술 형태가 작품 곳곳에 드러난다. 재일조선인총연합회에서 강조하는 “조선 사람의 긍지감을 갖는다.”라는 것은 바로 언어, 혈통, 국적의 고유성을 지켜 나가는 것이다. 따라서 『임무』에 나타난 모국어를 익히지 못한 사람, 국제 결혼을 한 사람, 일본 국적을 취득한 사람들의 유형은 부정적으로 인식되며 ‘낙후한 동포’로 표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