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
유형 | 문헌/연속 간행물 |
지역 | 일본 |
시대 | 현대/현대 |
창간 시기/일시 | 2000년 5월 |
---|---|
폐간|종간 시기/일시 | 2002년 |
발행인 | 재일본조선문학예술가동맹 중앙상임위원회 문학부(在日本朝鮮文學藝術家同盟中央常任委員會 文學部) |
총호수 | 7호 |
2000년 창간된 재일본조선문학예술가동맹 중앙상임위원회 문학부의 기관지.
『겨레문학』은 시, 동요, 가사, 희곡, 수필, 단편 소설, 중편 소설, 장편 소설, 조선대학교 학생의 시·소설·희곡 창작 성과물인 ‘신인 작품’, 재일 조선 문학 연구 연재 등이 실려 있다. 『겨레문학』제3호에는 재일본조선문학예술가동맹 중앙상임위원회의 박종상이 「조선 글로 소설을 쓰는 의미」를 투고하였다. 박종상은 일본글로 소설을 쓰는 것을 부정하진 않는다고 하면서, “더욱 민족 문학의 성새를 든든히 구축하고 발전시켜 조선 문학의 주인된 지위를 확고히 다져 놓아야” 하는데, 재일 동포 사회에서 민족 문학이 사명과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상황을 지적하였다. 또한 “조선 민족성, 민족 자주 정신을 되살리기 위하여” 조선글[한글의 북한어]로 좋은 작품을 써야 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취지에서, 『겨레문학』은 조선어로 쓴 작품들을 실었다.
『겨레문학』은 2000년 여름 창간호부터 연 4회 발행되었다. 2001년 겨울과 2002년 봄 합동호인 제7호가 발간된 이후의 발간 현황에 대해서는 확인이 불가능한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