짬뽕말

원어 항목명 チャンポンマル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언어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일본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원어 항목명 チャンポンマル
정의

일본어와 한국어를 섞은 재일 한인의 언어나 언어 행위.

개설

‘짬뽕[チャンポン]’의 어원은 중국말에서 요리를 ‘섞는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짬뽕에 한국어 ‘말’이 붙어 ‘뒤섞인 말’이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는데, 주로 재일 한인이 한국어와 일본어를 섞어 만든 언어나 언어 행위를 가리키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주로 한국어와 일본어의 영향을 균등하게 받았던 1세들의 언어 습관에서 많이 볼 수 있지만, 2세대 이후의 언어 습관에서도 짬뽕말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짬뽕말은 한민족으로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가시화하거나, 일본인이 뜻을 깨닫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였다. 나아가 일본어로 적절하게 대응시키기 어려운 어휘, 예를 들어 친족의 명칭이나 문화적 감성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민족어의 영향에서 점점 더 멀어지고 있는 2세대 이후의 재일 한인 세대들의 경우에는, 가족 집단에서 흔히 사용하였던 짬뽕말을 일본어로 간주하며 사용하는 경우도 있어, 이러한 언어 표현이 일본어에 영향을 주면서 새로운 조어로 자리 잡는 사례 또한 존재한다. 상이한 언어를 섞어서 말하는 현상은 이민자들이 이질적인 언어 환경에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발화 집단의 ‘집단의식’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아울러 내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在日コリアン辭典』(明石書店, 2010)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