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広辞苑差別用語事件 |
---|---|
한자 | 廣辭苑差別用語事件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일본 |
시대 | 현대/현대 |
원어 항목명 | 広辞苑差別用語事件 |
---|
1970년 7월 일본 조선연구소가 『고지엔』 사전에 수록된 조선 관련 차별 용어에 대해 항의한 사건.
고지엔 차별 용어 사건은 1970년 일본 조선연구소가 『고지엔[広辞苑(광사원)]』에 실린 단어 가운데 ‘선인(鮮人)’, ‘북선(北鮮)’ 등의 단어에 대하여 차별적인 내용이 있는 만큼 시정하여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논쟁적으로 진행된 사건을 말한다.
『고지엔』의 차별 용어에 대한 문제 제기 배경에는 전후 일본 사회에 널리 퍼진 재일 조선인과 과거 식민지였던 ‘조선’에 대한 차별을 어떻게 해서든 해결해야 한다는 인식이 있었다. 또한 부락해방동맹을 중심으로 한 차별 규탄 투쟁의 전개라는 사회적 현상도 존재하였다.
이와나미[岩波] 서점에서 1955년 출판한 『고지엔』의 초판 1쇄는 ‘북선’을 “북선인민공화국의 약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선인’을 “조선인의 약칭”이라고 설명하였다. 또한 ‘조선 정벌’이란 항목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거행한 조선 정벌”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런데 1969년 5월 출판된 2판에서는 ‘북선’을 “조선인민민주주의공화국의 속칭”이라고, ‘조선 정벌’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거행한 조선 출병”이라고 정의하였다. 일본 조선연구소는 1970년 7월 이러한 정의에는 차별적인 표현이 포함되어 있다고 이의를 제기하였다. 양측의 논의 결과 1971년 1월 발간된 2판 4쇄에서는 ‘선인’이란 단어가 삭제되었으며, ‘북선’은 “전후에 속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이렇게 불렀다.”라고 수정하였다. 그리고 ‘조선 정벌’ 항목을 ‘조선 출병’으로 변경하고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영토적 야심에 의한 조선에 대한 침공. 일본에서는 조선 정벌……이라고 부른다.”라고 수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