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년대를 사는 한국 저항 문학 - 시를 중심으로」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일본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저술 시기/일시 1978년
성격 평론
저자 김순남
정의

1978년 잡지 『한양』에 발표한 재일 문학 비평가 김순남의 평론.

구성/내용

김순남은 재일 한인 월간 종합 교양지 『한양』이 창간된 1962년부터 종간 무렵인 1984년 초반까지 주요 필진으로 활동하며 총99편의 평론을 발표하였다. 「70년대를 사는 한국 저항 문학 - 시를 중심으로」 또한 그중 하나이다. 김순남은 장일우와 함께 남한 친화적인 재일 디아스포라 지식인의 강렬한 민족주의에 입각해 확보된 공간이라 할 수 있는 『한양』의 문예란을 주도하였다. 김순남의 평론은 주로 소설과 시, 희곡 분야를 비평하였으며, 주된 논의는 생활 현실과 민족에 대한 강조 등이었다. 김순남이 발표한 비평의 주제는 리얼리즘의 이론적 토대와 방법적 실천으로 귀결된다고 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김순남은 전통의 문제가 민족 문학의 정신사적 토대라고 인식하고, 시대정신을 구현하는 참여 문학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실 도피적이고 폐쇄적인 순수성을 문학의 본질로 삼는 1960년대 한국의 보수적 문학관을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김순남 평론에 대한 연구는 민족주의에 초점을 맞출 때 1960년대 한국비평사의 재구성 및 비평에 나타나는 디아스포라 의식에 대한 규명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참고문헌
  • 『희귀 잡지로 본 문학사』(깊은샘, 2002)
  • 하상일, 『1960년대 현실주의 문학 비평과 매체의 비평 전략』(소명출판, 2008)
  • 하상일,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이해』(소명출판, 2011)
  • 조현일, 「『한양』지의 장일우, 김순남 평론에 나타난 민족주의 연구」(『한국문학이론과 비평』13-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9)
  • 하상일, 「김순남 문학 비평 연구」(『우리문학연구』31, 우리문학회, 2010)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