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韓統連20年の歩み |
---|---|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 |
유형 | 문헌/단행본 |
지역 | 일본 |
시대 | 현대/현대 |
간행 시기/일시 | 1993년 10월 31일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73년 |
간행처 | 일본 도쿄도 |
발견|발굴처 | 일본 도쿄도 |
원어 항목명 | 韓統連20年の歩み |
성격 | 단행본 |
편자 | 재일한국민주통일연합·한통련 20주년기념사업 실행위원회 |
간행자 | 재일한국민주통일연합·한통련 20주년기념사업 실행위원회 |
1993년 출간된 재일한국민주통일연합의 20년 활동을 정리한 단행본.
재일본대한민국민단 민주화 운동을 전개하였던 배동호 등의 재일 한국인이 김대중과의 연대를 통해 한국민주회복통일촉진 국민회의의 후신으로 1973년 재일한국민주통일연합을 조직하였다. 재일한국민주통일연합은 한국의 민주화와 조국 통일 운동을 전개하는 단체이다. 한국 민주화 운동과 조국 통일 운동을 목표로 하였지만 현실의 운동에서는 한국 민주화 운동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재일한국민주통일연합의 운동은 박정희 독재 정권과 전두환 군사 정권에 대한 저항을 중심으로 한 반정부 운동과 미국·일본의 독재 정권·군사 정권을 뒷받침하고 있는 경제적·정치적 지원을 중단할 것을 요구하는 반외세운동, 그리고 김대중 구원(救援)운동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운동은 일본의 한국 민주화 운동 지지 세력과의 연대, 세계 각국에서 한국 민주화 운동을 벌이던 한국인과의 연대로 이어졌다. 특히 재외 한국인과는 한국 민주화 운동을 위한 조직인 민주민족통일 해외한국인연합을 조직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활동과 더불어 재일 한국인의 권익을 주장하고 지키는 운동도 전개하였다. 그리고 한국이 민주화된 후인 1989년 2월 재일한국민주통일연합으로 재편되면서 조국 통일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한통련 20년의 발자취』는 재일한국민주통일연합의 20년간의 운동을 정리하는 것이 여전히 분단 상태인 조국의 현실을 바로 인식하고 자주·민주·통일에 대한 의지를 새로 다잡고, 조국 통일을 실현하기 위해서 의미가 있다고 보고 간행하였다.
『한통련 20년의 발자취』는 일본에서 1993년 출간되었고, 한국에서는 1994년 출간되었다. 하지만 한국이나 일본의 공공 도서관에서는 찾을 수 없고, 재일한국민주통일연합과 조선장학회[도쿄 소재]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재일한국민주통일연합의 운동에 관한 학문적인 연구가 거의 없어 추후 연구에 반드시 필요한 자료이다.
『한통련 20년의 발자취』의 주요 구성은 「한통련 20년사의 간행에 즈음해서」를 비롯해 본문 5장, 맺는말 등 세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본문 제1장은 한통련의 20년사 개요, 제2장은 한통련의 주요 활동 업적, 제3장은 한통련 조직 관계 회의 및 문서, 제4장은 한통련의 정강 정책을 알 수 있는 기본 문서, 제5장은 한통련이 주최·공최한 대중 집회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통련 20년사의 간행에 즈음해서」에서는 당시 의장인 곽동의가 인사말과 간행 의의 등을 실었다. 그리고 제1장에서는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소속 재일 한국인이 민주화 운동을 추진하던 과정에서 재일본대한민국민단으로부터 추방된 경위와 추방된 후 민족통일협의회를 결성해 조국 통일 운동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김대중과 연대해 한국민주회복통일촉진 국민회의를 결성하게 되는 배경과 경위, 결성 후의 활동에 대해서 시대순으로 정리하였다. 제2장에서는 조직강령 10항목에 근거해 한국 민주화 운동, 조국 통일 운동, 민족의 자주권을 지키려는 반외세 운동을 전개하며, 일본 내의 재일 한국인의 권익을 지키는 운동에 관해서 정리하였다. 제3장에서는 조직 운영과 운동 방향에 관해 토의한 주요 회의 내용이 실려 있다. 제4장에서는 한통련의 정강과 정책을 실었고, 제5장에서는 실제 전개한 운동을 연대별로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나오면서」에서는 한통련결성20주년 기념사업실행위원회의 인사말과 통일에 대한 결의가 서술되어 있다.
『한통련 20년의 발자취』는 재일한국민주통일연합이 조직을 결성한 배경과 경위, 그리고 20년간의 운동과 사상 등을 시대순으로 알기 쉽게 정리되어 있다. 또한 당시 재일 한국인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 거주하는 한국인의 민주화 운동, 통일 운동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귀한 자료이다. 또한 당시 일본과 세계의 한국 민주화 운동 지원 세력들이 어떤 활동을 하였는지, 그리고 그들과 어떻게 연대해 운동을 전개하였는지를 엿볼 수 있다. 단, 재일한국민주통일연합이 간행한 조직 운동사이기 때문에 평가가 극히 주관적이고, 긍정적인 면에 치우쳐 있다는 지적이 있다. 그 때문에 재일한국민주통일연합의 운동을 다양한 시점에서 파악하고 평가하는 데에 어려운 점이 있다는 아쉬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