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漢陽 |
---|---|
한자 | 漢陽 |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 |
유형 | 문헌/연속 간행물 |
지역 | 일본 도쿄도 |
시대 | 현대/현대 |
창간 시기/일시 | 1962년 3월 |
---|---|
폐간|종간 시기/일시 | 1984년 4월 |
제작|간행처 | 일본 도쿄도 |
원어 항목명 | 漢陽 |
성격 | 잡지 |
발행인 | 김인재 |
판형 | 국판 |
총호수 | 177호 |
1962년 3월 일본 도쿄도에서 재일 한인 김인재가 발행한 종합 잡지.
1945년 해방 이후 재일 한인 지식인들은 자신들이 담론을 논할 공간이 필요하였다. 동시에 한국 지식인과 소통을 희망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재일 한인 지식인과 본국 한국 지식인과의 유대와 교류를 통해 자신들의 정체성을 찾기 의한 방안으로 1962년 3월 『한양』이 창간되었다. 『한양』 창간호에 의하면 잡지의 이름을 ‘한양’으로 한 것은 “그 이름이 곧 조국을 상징하는 정다운 이름”이기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다. 미군정, 한국 전쟁, 4·19 혁명과 5·16 군사 정변으로 이어지는 조국의 현실에서 “우리 겨레의 양식이 될 것이며, 고동치는 조국의 넋을 담은 국민들의 공기(公器)”가 될 것을 다짐하였다. 뿐만 아니라 “한국 사람의 고유한 문화, 한국 사람의 고유한 윤리, 여기에 마르지 않는 샘물이 있고 깨끗한 심령의 세계가 있다.”고 밝히면서 한국의 문화와 윤리의 고유성을 통해 재일 한인의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데 의미를 두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한양』은 종합 월간지이며, 편집인 겸 발행인은 김인재(金仁在), 발행소는 한양사(漢陽社)이다. 판형은 국판이다.
『한양』의 구성은 시, 소설, 수필, 평론 등 문학 작품과 당대의 정치적 사회적 쟁점에 대한 논설, 논문, 시론, 만화, 그리고 한국의 전설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소개를 하고 있다. 재일 한인들의 의식과 정서를 총체적으로 대변하는 종합지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한양』은 1962년 3월 창간호를 발행한 이후 종간호인 1984년 3·4월호까지 통권 177호를 발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