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季刊ちゃんそり |
---|---|
분야 | 문화·교육/언론·출판 |
유형 | 문헌/연속 간행물 |
지역 | 일본 도쿄도 |
시대 | 현대/현대 |
창간 시기/일시 | 1979년 9월 20일 |
---|---|
폐간|종간 시기/일시 | 1981년 12월 |
제작|간행처 | 일본 도쿄도 시부야구 하타가야 1-12-11 |
원어 항목명 | 季刊ちゃんそり |
성격 | 잡지 |
발행인 | 잔소리모임[ちゃんそり会] |
총호수 | 8호 |
1979년 일본 도쿄도에서 재일 한인 2세들이 중심이 되어 발행한 일본어 잡지.
『계간 잔소리』는 재일 한인 2세, 3세들이 일본 사회 속에서 ‘일본인화’ 되어 가는 현실을 직시하고 새로운 전망을 제시하는 것이 발행 목적이었다.
『계간 잔소리』 창간호의 편집 후기를 맡은 박용복은 재일 한인 1세로부터 받은 전화 내용을 소개하고 있는데, 전화의 대부분이 “우리 아이들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젊은 세대들의 솔직한 의견을 실어 주었으면 좋겠다.”는 내용이었다고 한다. 『계간 잔소리』는 이와 같은 발행 취지에 맞게 민족적인 규범에 구애받지 않고, 재일 한인 젊은 세대들이 안고 있는 ‘민족’, ‘조국’, 가족, 혼혈 등과 관련된 문제들을 재해석하고 다양한 ‘재일상(在日像)’을 보도하였다. ‘북이냐, 남이냐’라는 질문에 한 편집 위원이 ‘동쪽이다’라고 대답한 것은 이와 같은 『계간 잔소리』의 발행 태도를 잘 보여 준다. 『계간 잔소리』에는 정대균, 김명관, 김경남, 종추월 등의 재일 한인 2세 작가들이 글을 기고하였다.
『계간 잔소리』는 1981년 12월까지 발행된 후 폐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