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조선민보』

원어 항목명 東京朝鮮民報
분야 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문헌/연속 간행물
지역 일본 도쿄도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창간 시기/일시 1934년 11월 1일
폐간|종간 시기/일시 1937년 9월 1일
원어 항목명 東京朝鮮民報
성격 신문
창간인 김호영
정의

1934년 일본 도쿄도에서 사회주의계 활동가 김호영이 창간한 재일 조선인 신문.

개설

『도쿄조선민보』는 사회주의계 활동가였던 김호영(金浩永)이 1934년 11월 1일 창간하여 1937년 7월까지 발행하였던 조선어 신문이다. 1937년 7월 중일 전쟁과 관련하여 김구의 동향을 다룬 기사로 인해 발행인 김호영이 검거되면서 9월 1일 폐간되었다.

구성/내용

『도쿄조선민보』는 지면을 통해 주로 조선 총독의 정책을 비판하고, 조선인의 일본 도항 문제, 조선어 폐지 문제, 조선인 부동산 임대 문제, 그리고 조선인 사상운동가 및 재외불령선인(在外不逞鮮人)과 관련된 소식 등을 보도하였다.

변천과 현황

1934년 11월 『도쿄조선민보』로 창간하여 초기에는 매월 2회 조선어로 발행하였지만, 얼마 후 자금난으로 인해 비정기적으로 발행되었다. 1936년 9월 『동아일보』 도쿄 지국장 신호균(申浩均), 『조선일보』 도쿄 지국장 김동진(金東進) 등의 후원과 출자를 얻어 조합조직으로 전환하면서 『도쿄조선민보』로 명칭을 바꾼 이후부터 2,000부 내외를 발행하여 전국 각 지역에 배포되었다. 1936년 11월 1일 또 다른 재일 조선인 신문 『민중시보』가 폐간된 이후,『도쿄조선민보』가 일본 내지에서는 유일한 합법적 조선어 신문이 되었다. 『도쿄조선민보』는 지면을 통해 주로 조선 총독의 정책을 비판하고, 조선인의 일본 도항 문제, 조선어 폐지 문제, 조선인 부동산 임대 문제, 그리고 조선인 사상운동가 및 재외불령선인과 관련된 소식 등을 보도한 탓에 치안 당국의 엄격한 감시를 받았다. 결국 1937년 7월 중일 전쟁과 관련하여 김구의 동향을 다룬 기사로 인해 발행인 김호영이 검거되면서 9월 1일 폐간되었다.

의의와 평가

『도쿄조선민보』는 재일 조선인 사회에서 창간되어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 정책에 저항하였던 조선어 신문이다.

참고문헌
  • 『재일코리안사전』(정희선 외 옮김, 선인, 201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 『社会運動の状況[昭和12年]』9(三一書房, 1972)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