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全国学生芸術競演大会 |
---|---|
한자 | 全國學生藝術競演大會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행사/행사 |
지역 | 일본 |
시대 | 현대/현대 |
시작 시기/일시 | 1967년 |
---|---|
원어 항목명 | 全国学生芸術競演大会 |
1967년부터 매년 조선 학교인 우리학교를 대상으로 개최하는 음악 경연 대회.
전국학생예술경연대회는 북한을 통해서 민족 음악과 개량 악기가 보급된 것을 계기로 시작되었다. 1년에 1회씩 우리학교를 대상으로 개최된다.
매년 10~11월 각 지방 예선을 통과한 인원들이 중앙 대회에 참가한다. 경연이 끝나면 우수 작품 발표 공연이 열린다. 전국학생예술경연대회는 지방 예선과 전국 대회 형식을 갖춘 전국적인 규모로 개최된다. 분야는 성악, 양악, 민족 기악, 무용, 병창 등이 있고, 초등부부터 고등부, 솔로, 중주, 합주 등의 다양한 종목으로 나뉘어 있다. 전국학생예술경연대회 개최는 전국의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계 학생들과 학교들이 서로 교류하는 하나의 계기가 되고 있다.
전국학생예술경연대회의 부문과 형식을 살펴보면, 분야에는 피아노, 양악기, 민족 악기, 사물놀이,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하는 경음악이 있고, 형식으로는 독주, 2중주, 중주, 합주가 있다. 또한, 민족 관현악은 소해금, 중해금, 대해금[지금은 첼로 사용], 콘트라베이스 등의 ‘활악기’, 가야금, 양금, 하프 등의 ‘지탄악기’, 단소, 고음저대, 중음저대, 저대, 장새납, 대피리, 저피리 등의 ‘관악기’, 장구, 꽹과리, 북, 징, 공, 팀파니 등의 ‘타악기’로 구성되어 있다.
적지 않은 학생들이 전문 기관이 아닌 일반 학교를 통해서도 어느 정도 민족 음악을 익힐 수 있었으며 독주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식의 합주를 경험할 수 있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전국학생예술경연대회에서 연주되는 곡은 전부 북한 작곡자들에 의해서 작곡되었다는 점이다. 곡 가운데에는, 북한의 작곡가가 경연 대회를 위해서 직접 써 준 곡들도 있으며, 심지어 원래 북한에서 연주되다가 최근에는 연주되지 않는 곡들도 있다. 민족관현악 합주곡 가운데 주요 경연곡으로는 「광부춤」, 「보천보의 횃불」, 「경축」, 「협동벌의 경사」 등을 꼽을 수 있다.
전국학생예술경연대회는 1967년 첫 경연 대회를 개최하였으며, 2016년 49회 경연 대회를 맞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