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영문 GO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작품/음악·공연 작품 및 영상물
지역 일본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창작|발표 시기/일시 2001년
성격 영화
작가(원작자) 가네시로 가즈키[金城一紀]
감독(연출자) 유키사다 이사오[行定勲]
출연자 구보즈카 요스케[窪塚洋介]|시바사키 고우[柴咲コウ]|야마자키 쓰토무[山崎努]
공연(상영) 시간 122분
정의

2001년 제작된 영화로 가네시로 가즈키의 소설 『GO』를 원작으로 한 한일 합작 영화.

개설

「GO」는 2000년 출간된 가네시로 가즈키의 청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이다. 재일 한인 고등학생이 자신의 정체성과 삶의 방식을 찾아가는 과정을 유쾌하고 감각적으로 그려 낸 작품이다.

내용

재일 한인 스기하라[杉原]는 일본의 일반 고등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이다. 하와이 여행을 계기로 조선에서 한국으로 국적을 변경한 아버지에게 배운 복싱으로 싸움이나 불량한 행동을 일삼으며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야쿠자의 아들인 가토, 민족 중학교에서 스기하라와 함께 교사들로부터 눈엣가시 취급을 받았던 동급생이나 선배가 스기하라의 친구들이다. 친구들 중 민족 중학교 개교 이래 수재라 불리는 정일만이 유일하게 스기하라로부터 존중받는 존재이다. 어느 날 스기하라는 선배 가토의 생일파티에서 사쿠라이[桜井]라는 이름의 소녀를 만나 첫눈에 호감을 느낀다. 이후 스기하라는 조금 독특한 성격과 취향의 소유자인 사쿠라이와 몇 번의 데이트를 거듭하는데, 정작 자신이 재일 한인이라는 사실을 말하지 못한 채로 관계를 유지한다. 그러던 중 정일이 역의 플랫폼에서 한 소년에게 찔려 죽는 사건이 발생한다. 친구를 잃은 충격과 슬픔에 빠진 스기하라는 그날 밤 사쿠라이와 밤을 같이 보내면서 사쿠라이에게 자신이 재일 한인이라는 사실을 고백한다. 그러나 고백을 들은 순간 사쿠라이의 태도는 급변하고 사쿠라이의 반응에 상처받은 스기하라는 복받쳐 오르는 감정을 아버지에게 쏟아 낸다. 동시에 스기하라는 국적이나 민족에 얽매이지 않아도 되는 세상을 만들겠다고 마음속으로 다짐한다.

의의와 평가

재일 한인 작가 가네시로 가즈키의 소설을 영화화한 「GO」는 주인공 스기하라의 성숙에 관한 이야기이다. 이 같은 이야기들의 대부분은 인생의 목적과 방향이 아직 명확히 정립되지 않은 성장기에 있는 주인공의 도덕적, 심리적 성장에 집중한다. 「GO」는 스기하라가 민족 학교를 다니던 중학생 시절에서 출발하여 일본계 고등학교로 진학하는 과정에서 자신만의 방식으로 스스로가 속한 세계에서 벗어나는 모습, 일본인 여성과 연애를 하고 절친한 친구의 죽음으로 국가와 민족이라는 개념에 대해 처음으로 깊이 생각하게 되는 성숙의 과정을 그리고 있다. 국가와 가족이 스기하라에게 억압으로 작용하고, 스기하라가 이 같은 공간에서 벗어나 두 발로 스스로 설 수 있는 새로운 공간과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을 쫓는다. 스기하라는 일본인들로부터 강제된 공간, 일본 학교, 일본 사회, 더불어 가족이라는 공간의 개념을 고민과 갈등 끝에 자신이 발견한 한 개인으로서의 정체성과 가치관에 기초하여 재구축한다. 치열하게 고민의 답을 찾아가는 스기하라의 분투는 영화의 제목이기도 한 GO라는 동사가 지니는 역동성에 충실한 카메라 워크에 의해 구현되고, 관객은 영화 전반에 걸쳐 스기하라의 질주에 동참하게 된다.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스스로에게 덧씌워진 틀과 공간에서 벗어나고자 러닝 타임 내내 어디론가 내달리는 「GO」 속 스기하라의 욕망이 민족과 국가에서 일탈하여 스스로의 설 곳을 찾아가는 강렬하고 통쾌한 에너지는 관객에게도 쾌감을 가져다준다.

참고문헌
  • 박정이, 「영화 「GO」에 나타난 ‘재일’ 읽기」(『일어일문학』54, 대한일어일문학회, 2012)
  • 유진월, 「「GO」에 나타난 탈주 욕망과 주체 형성: ‘이름’과 ‘공간’을 중심으로」(『디아스포라연구』9-1,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2015)
  • 日本映画データベース(http://www.jmdb.ne.jp)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