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한국학생동맹

원어 항목명 在日韓国学生同盟
한자 在日韓國學生同盟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일본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50년
원어 항목명 在日韓国学生同盟
정의

1950년 일본에서 재일조선학생동맹의 일부가 이탈하여 조직한 학생 단체.

개설

해방 직후 조직된 재일조선학생동맹이 조국 분단 이후 좌우로 대립하기 시작하였고, 1949년 5월에 열린 총회 이후 분열하여 1950년에 한국을 지지하는 학생 조직인 재일한국학생동맹을 설립하였다. 김응렬이 대표 위원으로 선임되었다.

설립 목적

『민주신보』[1951.11. 2]에서 확인되는 내용은 1951년 10월 29일과 1951년 10월 30일에 제6회 중앙 위원회를 개최하고 대일본의 태도 문제, 민족 문화 앙양에 관한 문제, 조직의 강화, 생활 보장에 관한 문제 등에 관하여 토의하였다. 또 다음과 같은 6가지 항목을 결의하고 이를 실행하고자 조직되었다. 결의 내용은 다음의 6개 항이다. 첫째, 재일 학도로서 본국에서 싸우는 국군에 대한 격려문 발송, 둘째, 위문문 발송, 셋째, 본국 학생에 대한 서적 발송, 넷째, 본국에 학도 사절단 파견, 다섯째, 회담 진행 기간 중 학생 재일한국학생동맹 임시 대회를 개최함, 여섯째, 오사카[大阪]에 소재한 극동 경제 부흥 사업단의 기술 연구소를 재일한국학생동맹에서 사용하기 등이다.

변천

1972년 재일본대한민국거류민단은 불순 세력과 동조했다고 하여 제20회 정기 중앙 대회 때 산하 단체에서 승인을 취소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일상적인 한글 공부와 역사 학습, 재일 한인 사회에 대한 이해 도모를 위한 공부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한국 전쟁 때는 ‘재일한교자원군(在日韓僑自願軍)’에 학도병을 파견하였다. 1952년에 열린 총회에서는 임시 수도였던 부산에서의 이승만 정권의 강권 정치, 일명 ‘부산 정치 파동’을 비판하고 계엄령을 해제할 것을 요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하고 한국에 전달하여 파문을 일으켰다.

1961년 5월에 박정희(朴正熙)의 군사 쿠데타가 일어나자 ‘반군부 쿠데타 성명’을 발표함으로써 군사 정권에 강경히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하였다. 이후, 1960년의 4·19혁명 이념을 기본 정신으로 삼아 한일 회담 반대운동과 입국 관리법 반대 운동, 재일본대한민국거류민단 민주화 운동 등 재일 한인의 권익 옹호를 기반으로 본국의 민주화 및 민족 통일 운동을 활발히 전개하였다. 1972년 7월에, 재일본대한민국거류민단재일한국학생동맹의 산하 단체 인정을 취소하는 등 사실상 추방하였으나 이후에도 재일본대한민국거류민단 측에 서서 자체적으로 한국의 군사 정권 반대, 본국 학생 운동 지원 및 연대를 표방하는 활동을 계속해 나갔다.

현황

도쿄[東京]에 중앙 총본부가 있고, 교토[京都], 오사카[大阪], 효고[兵庫], 도카이[東海]에 지방 본부가 있다. 일본 대학 내부의 한국 문화연구회는 그 지부에 해당한다. 기관지 『한국학생신문』이 발간되고 있다.

참고문헌
  • 『재일코리안사전』(정희선 외 옮김, 선인, 2012)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