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民族教育促進協議会 |
---|---|
한자 | 民族敎育促進協議會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
시대 | 현대/현대 |
설립 시기/일시 | 1984년 12월 2일 |
---|---|
해체 시기/일시 | 2003년 7월 12일 |
원어 항목명 | 民族教育促進協議会 |
1984년 일본 오사카에서 재일 한인, 조선인 아동, 학생에 대한 민족 교육을 보장하기 위해 결성된 단체.
1984년에 민족교육을 추진하는 연락회·민족강사회·민족교육문화센터 등 3개의 조직체가 중심이 되어 결성된 단체이다.
‘재일 한국·조선인 아동·학생에게 민족 교육의 보장을 요구하는 심포지엄’은 오사카에서 개최되었다. 민족교육촉진협의회는 결성된 후, 일본 교육 당국에 다음의 6가지 사항을 요구하였다. 첫째, 민족 교육을 기본적 인권으로서 인정한다. 둘째, 민족 학교에 일조교(一條校)의 자격을 준다. 셋째, 일본의 학교에 재적하는 동포 어린이들에게 ‘민족’을 접할 기회를 준다. 넷째, 외국인 교육 방침 책정과 구체화를 추진한다. 다섯째, 동포 교원의 채용을 추진한다. 여섯째, 일본의 교육 제도 속에 민족 교육을 포함시킨다.
민족교육촉진협의회의 운동은 적극적 인민족 교육과 관련한 요구를 제기했다. 1948년 4·24 한신 교육투쟁[阪神敎育鬪爭] 이후 당시에 오사카부 지사와 민족 대표간에 체결된 ‘각서’를 통해 설치된 이른바 ‘민족 학급’ 교원들의 퇴직에 따른 후임 강사의 보충과 자원봉사 상태의 민족 학급 민족 강사의 신분 보장을 주요 골자로 하였다.
2003년 7월 12일 민족교육촉진협의회는 ‘발전 해산의 모임’을 열고, 20년간의 역사에 종지부를 찍었다. 그러나 이후 보다 광범위한 재일 조선인의 문제를 다루는 ‘코리아 NGO 센터’와 민족교육촉진협의회 결성의 모체였던 ‘민족교육을 추진하는 모임’으로 지금도 활동하고 있다.
민족교육촉진협의회는 1948년 4·24 한신 교육투쟁 기념 집회를 열었고, 매년 오사카부 시교육 위원회와 협상을 거듭하여 많은 성과를 얻었다. 예를 들면 ‘각서’ 민족 강사의 후임 조치, 민족 학급의 설치, 민족 강사의 신분 보장, 각 지역의 외국인 교육 지침 책정 등으로 오사카의 공립 학교에서 다문화·다민족 공생 교육의 표본과 실천적 초석을 쌓았다고 평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