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사연구회

원어 항목명 朝鮮史硏究会
한자 朝鮮史硏究會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일본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51년 1월
원어 항목명 朝鮮史硏究会
홈페이지 http://www.chosenshi.gr.jp
정의

1951년 일본에서 설립된 한국 및 재일 한인 관련 연구 학회.

개설

1951년 1월에 창립하여 현재 약 500명의 회원이 있다. 간토[関東] 지부와 간사이[関西] 지부를 두고 있다. 회원은 국적을 불문하고 조선사와 관련한 연구자 혹은 관련 분야 종사자로 구성되어 있다.

설립 목적

설립 목적은 조선사의 과학적 연구를 하기 위해서 설립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선사의 연구를 통해 일본·조선 두 민족의 우호 친선을 도모하고 기존의 조선사 연구 성과를 비판적으로 계승하기 위함이다. 끝으로 새로운 조선 사학의 발전과 민주적으로 회의를 운영하여 국내외 연구 기관 및 연구자와의 교류를 도모하기 위해서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매년 10월에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연 4회에 걸쳐 『조선사연구회 회보』를 발행하고 있고, 연구 성과를 모아 『조선사 연회 논문집』을 매년 간행하고 있다. 연구 논문집은 1965년에 제1집을 발행한 후 2013년까지 제51집을 간행하였다. 조선사연구회는 강령에서 “기존의 조선사 연구를 비판하고 새로운 조선사학의 발전을 도모한다”고 밝히고 있듯이 식민사학인 정체성론, 일선동조론, 만선일체론 등을 극복하는 데 노력하고 있다. 1970년~80년대는 통사와 계몽서나 연구 입문서 등 출판을 통해 남북한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에 자극을 받아 한민족의 주체적 발전을 보여주는 내재적 발전론을 제창하였다. 뿐만 아니라 일제 강점의 책임을 왜곡하려는 정치 동향에 학문적으로 반론을 전개하는 등 일본의 한국사 연구를 이끌어 가는 데 큰 역할을 담당하였다.

주요 연구 성과물로 『戦後日本における朝鮮史文献目録』[緑蔭書房, 1994], 『朝鮮の歴史(新版)』[三省堂, 1995], 『入門·朝鮮の歴史』[三省堂, 1986] 등이 있다.

2000년 5월 19일 이시하라 도쿄도지사의 잘못된 역사 인식을 비판하는 성명을 비롯하여, 2003년 3월 25일 대학 수험 자격에서 아시아계 민족 학교 차별과 배제 철회 운동을 하였다. 2003년 11월 16일 이시하라 도쿄도지사의 한국 강점을 정당화 발언한 것을 비판하였다. 2003년 6월 20일 역사 교과서에 관한 역사 연구 및 교육 연구 단체의 공동 성명을 발표하였으며, 2005년 8월 중학교 역사 교과서[전 8종]의 한국 관련 기술에 대한 검토를 하였다. 2010년 7월 29일 조선 학교 고교 무상화 배제에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하였으며, 2015년 10월 24일 종전 70년 아베 수상 담화에 대한 성명 등을 발표하였다.

현황

현재 회원은 500명이며, 간토 지부와 간사이 지부에서는 매월 1회의 예회를 통해 한국사 관련 연구를 발표하고 토론하고 있다. 2017년 10월 21일부터 22일까지 제54회 대회를 개최하였다.

참고문헌
  • 『재일코리안사전』(정희선 외 옮김, 선인, 2012)
  • 조선사연구회(http://www.chosenshi.gr.jp)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