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학원

원어 항목명 金剛学園
한자 金剛學園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스미노에구 난코키타 2정목 6-10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인가 시기/일시 1950년 3월
이전 시기/일시 2007년 7월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54년 4월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50년 3월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0년 4월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61년 2월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5년 11월
현 소재지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스미노에구 난코키타 2정목 6-10
원어 항목명 金剛学園
원어 주소 日本国大阪府大阪市住之江区南港北2丁目6-10
성격 민족학교
전화 06-4703-1780
홈페이지 http://www.kongogakuen.ed.jp
정의

1950년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에 설립된 한국계 민족 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교육 목표는 ‘큰 꿈을 안고, 세계로 확장해 가는 시야를 지닌 글로벌 리더의 육성’이다. 교훈은 ‘나를 알자[知己], 우리를 아끼자[協同], 나라를 사랑하자[愛國]’이다.

변천

일본에 거주하는 한국계 교포 자녀들에게 모국과의 연계 교육 및 현지 적응 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설립된 학교 법인이다. 정식 명칭은 금강학원 소학교·금강학원 중학교·금강학원 고등학교이며, 통틀어 오사카 금강학교로 지칭되고 있다.

금강학원의 전신은 1946년 2월에 결성된 니시나리[西成] 조선인 교육회(朝鮮人敎育會)가 조선인 밀집 지역인 니시나리구에 있는 일본인 학교의 교실을 빌려 개교한 니시나리 조선인 소학교이다. 1950년 3월에 재단 법인 금강학원으로 인가를 받아 금강 소학교(金剛小學校)로 교명을 변경했고 일본 정부로부터 사립 학교로 인가받았다. 1951년 3월에 학교 법인으로 변경되었으며, 1954년 4월에 중학교, 1960년 4월에 고등학교가 설립되었다. 한국 정부로부터 1950년 3월에 소학교, 1961년 2월에 중·고등학교가 재외 국립 학교로 인가받았다. 1985년 11월에는 일본 정부로부터 정규 사립 중·고등학교로 인가받았다. 2007년 7월에 현재 소재지로 교사를 이전하였다.

교가와 상징물

교가는 다음과 같다.

조국의 오랜역사 빛나는 전통 우리는 배달/ 겨레 슬기론 자손 산넘어/ 물을 건너 이역 땅에서 큰 포부/ 가슴 마다 품고 자란다. 나라의 힘되자/ 한국학교 인류의 빛 되자 금강학원

현황

각 학교의 교육 과정은 크게 국민 교과와 일반 교과로 나누어지며, 국민 교과에서는 한국어 및 한국 역사·지리를 가르치고 일반 교과에서는 일본의 교육 과정에 따르고 있다. 소학교에서는 한국어와 영어를 가르치고 있으며, 클럽 활동으로 태권도, 사물놀이, 한국 전통 무용 등을 가르치고 있다. 중·고등학교에서는 한국어 및 한국 문화 단기 연수 제도, 방학 기간 한국 방문 연수 등을 실시하여 모국을 직접 접하고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 외에 2009년에 금강 수련관을 개관하고 매년 ‘금강학원 오픈 태권도 선수권 대회’를 개최하여 태권도를 통한 한국 문화 교육과 홍보에 진력하고 있다. 또한 매년 오사카시[大阪市]에서 주최하는 ‘사천왕사(四天王寺) 왔소 축제’와 사카이시[堺市]에서 주최하는 지역 축제에 조선 통신사 행렬, 한국 전통 무용 공연으로 참가하는 등 다문화 공생 사회의 이바지 역할에도 힘쓰고 있다. 교원은 졸업생을 중심으로 한 재일 교포 2·3세대가 많으며, 일본인 교사와 한국 정부에서 파견된 한국인 교사도 재직하고 있다. 학생 수는 2016년 기준으로 초·중·고등학교 총 15학급에 290여 명이 재학 중이며, 일본인 학생도 다니고 있다. 한국에 관심을 갖고 있는 일본인 학생 교육을 위해 한국과 일본의 교육 과정을 동시에 고려하여 절충하면서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참고문헌
  • 『재일코리안사전』(정희선 외 옮김, 선인, 2012)
  • 학교법인 금강학원(http://www.kongogakuen.ed.jp)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