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학교

원어 항목명 朝鮮大学校
한자 朝鮮大學校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일본 도쿄도 고다이라시 오가와쵸 1-700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인가 시기/일시 1956년
이전 시기/일시 1959년
현 소재지 일본 도쿄도 고다이라시 오가와쵸 1-700
원어 항목명 朝鮮大学校
원어 주소 日本国東京都小平市小川町1-700
성격 대학교
전화 042-341-1331
홈페이지 https://www.korea-u.ac.jp
정의

1956년 설립된 일본 도쿄도 고다이라시에 있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계의 고등 교육 기관.

교육 목표(교훈 포함)

1945년 10월에 결성된 재일본조선인연맹[조련]은 일본 전국에 국어강습소를 설치한 데 이어서 체계적인 민족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 각지에 조선 학교를 설립하였다. 조선 학교는 1948년과 1949년에 일본 정부가 발령한 조선 학교 폐쇄령에 의해 모두 강제 폐쇄되었다. 1955년 5월에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총련]이 결성된 이후 조선 학교 재건 운동이 전개되었다.

변천

1956년에 조선 학교의 최고 학부로 도쿄 고다이라시[小平市] 조선 중고급 학교의 부지 내에 2년제 조선대학교가 설립되었다. 조선 학교의 최고 학부로 1956년에 설립된 조선대학교는 1958년에 4년제로 학제가 개편되었다. 1959년에 북한이 1957년부터 보내 온 교육 원조비로 현재 위치에 교사를 신축해서 이전했다. 기숙사 생활이 곤란한 일부 학생 이외는 모두 기숙사 생활을 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일관해서 조선 학교에 대한 억압 정책을 했으나 1959년에 미노베 료기치[美濃部亮吉] 도쿄도[東京都] 지사가 각종 학교로 인가해 주었다.

교육 활동

수업 최대의 특징은 민족 과목이지만 시대의 요청에 맞추어서 일반 과목이나 교양 과목에도 힘을 쏟고 있다. 법률학과에서는 변호사나 사법 서사, 행정 서사 등이 육성되고 있다. 학생들 대부분은 조선고급학교 졸업생이다. 일본 고등학교 졸업생은 1학년 때에 모국어나 조국의 역사·지리 등의 기초 지식을 중심으로 하는 ‘조선 문화 코스’[1년제]을 배우게 된다. 학생들은 학부별로 ‘조국 단기 연수’가 있으며, 북한을 방문해서 관광 여행이나 각종 전문 실습, 조국의 대학생들과의 교류 등을 한다.

기숙사제라는 특징을 살려서 클럽 활동이나 실습, 연수, 세미나, 일본의 지역 사회와의 교류 등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체육계 클럽 활동에서는 축구, 럭비, 공수도, 복싱부 등이 간토(関東) 대학 리그에 소속되어 있다. 특히 축구부는 북한의 국가 대표나 일본의 J리그의 프로 선수 등을 배출하고 있으며, 복싱부도 북한의 국가 대표 선수와 세계 챔피언을 육성하였다. 졸업생들 대부분은 각지의 조선 학교 교원, 총련의 지방 본부·지부나 각종 기관의 직원이 되거나 동포계 기업에 취직을 한다. 한편 다른 대학의 학부나 대학원에 진학하는 사람도 있다. 대부분의 사립 대학교와 국공립 대학교는 대학원의 수험 자격을 인정하고 있다.

현황

조선 학교에서는 설립 당초에 조국으로의 귀환을 전제로 한 수업에 주력하고 있었다. 재일 코리안의 일본 정주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생활 실태에 적합한 방향에 변화되어 왔다. 조선대학교에는 현재 정치 경제 학부, 문학 역사 학부, 경영 학부, 외국어 학부, 이공 학부, 교육 학부, 체육 학부, 단기 학부의 8학부와 연구원[대학원]이 있다. 민족교육연구소, 조선역사박물관 등의 부속 시설이 있다. 졸업생 수는 약 13,000명이다.

참고문헌
  • 고찬유, 『국제화 시대의 민족 교육』(동방출판. 1996)
  • 『재일코리안사전』(정희선 외 옮김, 선인, 2012)
  • 조선대학교(https://www.korea-u.ac.jp)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