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K 어학 강좌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일본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4년 4월
정의

1984년부터 NHK가 텔레비전과 라디오로 방송하고 있는 세계 각국의 언어 강좌 중 한글 강좌.

개설

NHK[일본방송협회]의 외국어 강좌는 라디오 시대부터 시작되었다. 1976년 학자·문화인들이 NHK에 「조선어 강좌」 개설을 요구하였는데 재일본대한민국민단이 「한국어 강좌」로 변경하도록 요구하여 「조선어 강좌」를 주장하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와 의견 대립이 생겼다. 일본에서는 역사적으로 학술 용어나 공문서에서는 ‘조선어’라고 부르는 것이 관습적이었으나 1965년의 한일 국교 정상화 이후 ‘한국어’라는 호칭도 보급되어 있었다. NHK는 「조선어 강좌」라는 명칭을 내정하였으나 정치 문제화되었기 때문에 결국 강좌 개설은 보류되었다. 1984년 4월 NHK는 「안녕하십니까? 한글 강좌」라는 이름으로 NHK 교육 텔레비[현 NHK E테레]와 라디오 제2 방송에서 방송을 개시하였다. 2008년 텔레비전과 라디오로 강좌가 나뉘어 텔레비전은 「텔레비전으로 한글 강좌」, 라디오는 「마이니치[매일] 한글 강좌」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현황

2017년 현재 「텔레비전으로 한글 강좌」의 방송 시간은 수요일 밤 11시 30분부터 11시 55분으로 25분 동안 방송된다. 재방송은 금요일 오전 6시부터 6시 25분이고 한국의 스타들도 자주 출연한다. 라디오 「마이니치 한글 강좌」의 방송 시간은 월요일부터 금요일 오전 8시부터 8시 15분까지 15분 동안 방송된다. 재방송은 월요일부터 금요일 오후 6시 30분부터 6시 45분, 일요일에 5회분이 방송된다. 「레벨업 한글 강좌」는 월요일부터 금요일 오전 10시 45분부터 11시까지 15분 동안 방송된다.

의의와 평가

과거에는 일본에서 한글을 배우는 사람이 소수에 지나지 않았으나 1980년대 무렵부터 차츰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2002년 FIFA 월드컵 한일공동개최 이후 대학이나 학원에서 한글을 공부하는 사람이 급증하였으며 NHK 어학 강좌를 이용하는 사람도 많다.

참고문헌
  • 『在日コリアン辭典』(明石書店, 2010)
  • NHK(https://www2.nhk.or.jp/gogaku/hangeul/tv/)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