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国語講習所 |
---|---|
한자 | 國語講習所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일본 |
시대 | 현대/현대 |
원어 항목명 | 国語講習所 |
---|
1945년 8·15 해방 이후 재일 한인들이 우리말을 통해 민족 교육을 실시할 목적으로 설치한 시설.
국어강습소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재일 한인이 자주적으로 동포 자녀들을 대상으로 우리말을 통해 민족 교육을 실시할 목적으로 설치한 시설이었다. 1945년 9월 도쿄의 간다에 있는 YMCA에서 처음으로 국어강습회를 개최하였다. 그리고 요코하마의 도즈카 한글학원 등이 개설되어 전국 각지로 확산되었다.
처음에는 주로 재일 한인들이 거주하는 개인 소유의 집 또는 공사립학교·공장 등을 빌려서 민족 교육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움직임은 1946년 이후 재일조선인연맹에 의해 정비되어 지리·역사·수학·이과 등을 포함한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 형태로 변모하게 되었다.
국어강습소의 주된 교육 활동 중의 하나가 재일 한인 자녀들에게 귀국을 전제로 한 조선어 교육에 있었다. 다시 말해 모국어를 통한 교육 활동은 민족의 자긍심을 고취함과 동시에 자녀들의 귀국 후 사회생활을 위한 현실적인 발로에서 시작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일본에 존재하는 재일 한인 학교와 재일 조선인 학교는 이러한 국어강습소를 모태로 하여 설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