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광사

원어 항목명 淸光寺
한자 淸光寺
분야 종교/불교
유형 기관 단체/사찰
지역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이쿠노구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현 소재지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 이쿠노구 모모다니 3초메 8반 7호
원어 항목명 淸光寺
원어 주소 日本国大阪府大阪市生野區桃谷3丁目8番7號
성격 사찰
창건자 신정원
정의

일본 오사카부 오사카시에 있는 한국 불교계 사찰.

개설

한국 불교계 사찰이다. 재일 한인 사회에서 사찰은 활동 주체의 성격에 따라 한국 불교계 사찰, 민속 종교계 사찰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한국 불교계 사찰은 한국의 조계종 사찰에서 수행을 한 승려가 일본에서 와서 창설한 사찰을 가리킨다. 승려는 남성이며, 계율에 따라 독신으로 지낸다. 일본 내에는 30여 곳의 한국 불교계 사찰이 있고 오사카[大阪] 시내에는 청광사(淸光寺)를 비롯하여 보현사(普賢寺), 대원사(大圓寺) 등의 사찰이 있다.

활동 사항

민속 종교계 사찰을 총칭하여 조선사(朝鮮寺)라고 하는데 무속과 습합해 ‘굿’과 같은 샤머니즘적 의례를 행하고 심방(神房)과 보살 등 남녀 기도사가 있는 경우도 있다. 한국 불교계 사찰에 속하는 청광사는 굿을 하지 않고 심방, 보살 등 남녀 기도사도 없다. 장례식, 법사(法事), 관불회, 8월 15일 오본[お盆][일본에서 설날과 함께 중요시되는 명절] 전후로 사자 공양(死者供養)을 행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현황(조직,시설 현황 포함)

청광사의 창건 주지 신정원(愼淨園)[1935~2014]은 1962년 선대 보살의 절을 이어받아 일본 내 한국 불교 포교 활동을 해왔다. 1935년 오사카에서 태어났고, 본적은 제주도이다. 한국 해인사에서 수행과 득도를 하였다. 1954년부터 1962년까지 한국 불교계에는 자정 운동이 전개되었는데 대처승 배제, 비구승에 의한 종단 재건, 한국 불교 전통 재건, 불교 근대화 등이 추진되었다. 신정원은 불교 정화 운동 참가로 인해 충분한 공부를 하지 못하여 1962년경 일본으로 돌아가 류코쿠[龍谷]대학, 다이쇼[大正]대학 대학원에서 공부를 하기도 하였다. 계율에 따라 독신으로 지냈다. 후임으로 승려 탁연이 청광사의 주지가 되었다.

참고문헌
  • 이광규, 『재일 한국인』(일조각, 1983)
  • 노성환, 「재일한인의 세시풍속에 관한 연구」(『한국문학논총』34, 한국문학회, 2003)
  • 「故신정원 스님, 더프라미스에 1억여원 후원」(『불교신문』, 2014. 2. 19)
  • 飯田剛史, 「在日韓國·朝鮮人社會における佛敎および民俗宗教寺院の諸形態」(『硏究年報』15, 富山大學, 198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