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在日同胞北送反対闘争 |
---|---|
한자 | 在日同胞北送反對鬪爭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일본 니가타현 |
시대 | 현대/현대 |
발생|시작 시기/일시 | 1959년 12월 4일 |
---|---|
발생|시작 장소 | 일본 니가타현 |
원어 항목명 | 在日同胞北送反対闘争 |
1959년 12월 4일 일본 니가타현에서 한국 공작원이 테러를 시도한 사건.
재일동포북송반대투쟁 또는 니가타[新潟] 일본 적십자센터 폭파 미수 사건은 1959년 12월 4일 한국 정부가 파견한 공작원이 니가타현에서 테러를 시도한 사건이다.
1945년 해방 이후 북한은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된 경제 개발 계획으로 많은 노동력이 필요한 시기였다. 한편 일본은 1952년 4월 샌프란시스코 조약의 발효와 함께 일본에 거주하는 재일 조선인을 한국으로 송환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이와 관련하여 한일간의 협정이 맺어지지 않았으며 전쟁 중이라 여건이 허락하지 않는다고 재일 조선인 인계를 거부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북한은 1956년 조선 노동당 제3차 대회에서 재일 조선인의 귀국을 환영한다는 성명을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1955년 3월 설립된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는 귀국 촉진 운동을 전개하였다. 그 결과 1959년 8월 13일 인도의 캘커타에서 북한 적십자사와 일본 적십자사는 공식적으로 귀환 협정을 조인하였다.
귀환협정이 조인되자 1959년 9월 한국 정부는 한국 전쟁 당시 재일 조선인 가운데 한국군에 지원한 재일 의용병에게 북송사업 저지를 위한 공작 활동을 요청하였고, 재일 의용병 42명, 한국인 24명을 1959년 12월 초순에 일본으로 파견하여 북송 반대 작전을 수행하였다.
1959년 12월 4일 일본 경시청 외사과 소속 경찰은 니가타현에 도착하여 북송 반대 투쟁을 실행하고 있던 공작원을 폭발물 단속 위반 협의로 현장에서 체포하였다. 일본 경찰의 조사에 의하면, 이들 공작원들은 니가타 일본 적십자사센터를 폭파하려 했으며, 한국 영사관의 김영환(金永煥) 서기관과 한국 특무 기관의 간부가 지휘한 것이라고 하였다. 이후에도 한국 정부에 의한 북송 반대 투쟁은 지속적으로 전개되었다.
1960년 5월 3일 한국으로 밀입국하려던 공작원 24명이 아마구치현[山口県] 시모노세키시[下関市] 부근에서 체포되었으며, 1960년 5월 10일에는 한국 공작원이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체포된 공작원은 대통령 직속의 경무대 출신으로 ‘재일 동포 북한 귀국 저지 결사대’의 대원이었다. 공작 활동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는 니가타 일본 적십자 센터 폭파 계획, 두 번째는 운송 열차 폭파, 세 번째는 앞의 두 계획이 실패하였을 경우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간부와 북한 측의 송환 책임자에 대한 테러였다.
1959년 12월 8일 주일 대표부의 유태하(柳泰夏) 대사는 일본 적십자센터 폭파 미수 사건은 한국과 관계없다고 부정하였다. 그러나 당시의 북송 반대 공작 중 사망한 사람이 2009년 5월 19일 전몰자로 인정받아 국립 현충원에 안장되었으며, 2011년 4월 29일 한국 국회는 재일 조선인의 북송 저지를 위한 경찰 특수 임무 수행자의 보상에 관한 법률안을 승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