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본조선인피폭자연락협의회

원어 항목명 在日本朝鮮人被爆子連絡協議会
한자 在日本朝鮮人被爆子連絡協議會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일본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80년 8월
원어 항목명 在日本朝鮮人被爆子連絡協議会
설립자 이실근
정의

1980년 8월 히로시마현 조선인피폭자협의회와 나가사키현 조선인피폭자협의회가 모체가 되어 결성된 일본 유일의 재일 한인 피폭자 단체.

개설

재일본조선인피폭자연락협의회는 일본에 거주하던 많은 재일 한인들 가운데서도 피폭자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리고 핵 폐기를 호소하면서 재일 조선인 피폭자 실태 조사와 피폭 치료의 차별 철폐를 위해 노력하였다. 1957년에 제정된 일본의 피폭자 원호법에 국적 조항은 없었으나 치료 대상을 일본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행정 기관은 재일 조선인 피폭자에 대하여 일본 국적이 아니라는 이유로 원호 적용을 거부하거나, 피폭자 수첩 교부 과정에서 재일 조선인들이 동료인 재일 조선인만을 증인으로 세운 행위는 신용할 수 없다고 하는 등 피폭을 증명할 수 있는 일본인 증인을 요구하는 차별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행정은 재일본조선인피폭자연락협의회의 활동으로 상당히 개선되었다.

변천

1975년 8월 2일에 이실근은 히로시마 내의 조선인 피폭자 130여 명과 함께 히로시마 사회복지센터에서 히로시마현[広島県] 조선인피폭자협의회를 결성하였다. 이후 이실근은 재일 한인들의 피폭 실태 조사, 재일 한인 피폭자도 치료 대상자로 하는 원호법 제정 요구 활동을 하였다. 이러한 움직임을 토대로 하여 또 다른 원폭 투하 지역인 나가사키[長崎]에서 1979년 8월에 나가사키현 조선인피폭자협의회가 결성되었고, 이 두 단체가 모체가 되어 1980년 8월에 재일본조선인피폭자연락협의회가 설립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재일본조선인 피폭자연락협의회의 회장 이실근은 2001년 7월 6일에 한국을 방문하여 “한국 내에 있는 피폭자들은 한일 양국으로부터 적절한 보상과 치료도 못 받으며 고통 속에 살아가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라고 밝히면서, “일본 정부는 원폭 피해를 본 남북한의 생존자 3,000여 명에 대해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라고 요구하며 “이를 위해서는 남북한 정부와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서 일본 정부에 대항해야 한다.”라고 강조하였다.

참고문헌
  • 『재일코리안사전』(정희선 외 옮김, 선인, 2012)
  • 『동아일보』(2001. 7. 6)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