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조

원어 항목명 学習組
한자 學習組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일본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58년 5월
원어 항목명 学習組
정의

1958년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간부의 사상성과 지도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직한 학습 동아리.

개설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산하에 속해 있는 비공연(非公然) 조직이다. 1957년 1월에 열린 ‘전조선인 공산주의자 간담회’에서 조선 노동당의 지시로 학습 운동이 제안되었다. 1957년 5월에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제3회 전체 대회에서 학습 운동을 추진하기 위한 조직화가 결정되었다. 1958년 5월에 열린 제4회 대회에서 ‘학습조’의 결성과 학습조를 통한 정기 학습이 본격적으로 의무화되었다. 1959년 6월에 열린 제5회 전체 대회에서는 전국에서 조원 약 3,000명, 약 360조가 조직되었다.

변천

한국의 4·19 혁명, 5·16 쿠데타 등을 배경으로 1961년 7월에는 조선노동당의 지도를 실천할 수 있는 조직이 되기 위한 중핵체로 승격되는 동시에 ‘학습조 규정’이 제정되었다. 1973년 12월에 학습의 중심을 마르크스·레닌주의에서 김일성 주의로 개편하였다. 1976년 1월에 ‘학습조 규정’이 ‘학습조 활동 규정’으로 개정되었다. 학습조 활동 규정을 통해 재일 조선인 김일성 주의의 혁명 조직이 되었다. 2002년 9월 17일에 북한과 일본의 수뇌 회담 직전에 폐지되었다가 2005년 2월에 조선노동당 대외 연락부가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부의장인 남승우에게 학습조 부활을 지시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학습조에는 ‘표면 학습조[表の學習組]’와 ‘이면 학습조[裏の學習組]’ 두 종류가 있다. 표면 학습조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의 관련 기업에 입사해서 몇 년간 활동하면 가입이 인정된다. 매달 1회 집회를 열고 중앙의 방침을 전달하거나 매달 조직원으로서 걸맞은 행동을 했는지에 대한 자기 비판을 행한다. 기본적으로 ‘이면 학습조’의 활동에는 참가하지 않는다. 이면 학습조는 배후에서 비합법적인 활동을 하는 조직으로, 한국이나 일본에서 공작 활동 등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참고문헌
  • 『재일코리안사전』(정희선 외 옮김, 선인, 2012)
  • 『産経新聞』(2005. 6. 10)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