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ウリ民主社会主義同盟 |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일본 도쿄도 |
시대 | 현대/현대 |
설립 시기/일시 | 1956년 1월 31일 |
---|---|
개칭 시기/일시 | 1956년 5월 12일 |
원어 항목명 | ウリ民主社会主義同盟 |
1956년 결성된 재일 한인 통일운동 단체.
해방 후 처음으로 조직된 남북통일촉진협의회의 남북 통일 운동은 재일본대한민국민단과 갈등을 일으켰다. 남북통일촉진협의회는 1954년 10월에 북한이 제의한 남북 협상 회의 제안을 지지하고, 이를 용공적 반정부적이라는 재일본대한민국민단의 성명을 비난하는 한편 이승만 정부의 북진 통일을 배격하였다. 이에 대해 재일본대한민국민단은 남북통일촉진협의회를 비난하고, 통일 운동을 방해하였다. 재일조선통일민주전선의 후신인 재일조선인총연맹도 남북통일촉진협의회에 참여하는 인사에 대해 탈퇴와 비협력을 지시하였다. 그 결과 남북통일촉진협의회는 6개월 만에 사실상 활동을 마감하였고, 이를 계기로 우리민주사회주의동맹이 결성하게 되었다.
우리민주사회주의동맹의 강령에 의하면 민족 자결의 원칙에 기하여 조국의 평화적 통일과 자주 독립의 달성과 남북을 통한 자유 총선거에 의한 통일 중앙 정부의 수립을 주장하였다. 또 통일 조국의 국제적 영세 중립화를 주장하였다.
우리민주사회주의동맹은 결성 직후 기관지 『통일과 평화』를 창간하여 “민주사회주의에 의한 통일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우리민주사회주의동맹의 통일 활동은 재일본대한민국민단과 논쟁을 불러 일으켰다. 권일 위원장이 발표한 논문에 의하면 “현재의 한반도 상황은 자본주의나 공산주의로는 조국을 구하지 못하기 때문에 민주사회주의만이 한반도 통일에 있어 구국의 유일한 길”임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우리민주사회주의동맹의 통일 노선에 대해 재일본대한민국민단은 국시 준수(國是遵守)의 내용으로 서한을 보내면서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1958년 11월에 제4차 전체 회의를 개최하고 조국의 평화 통일은 국제 협력과 그 합의 아래 국제 연합을 중심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하였다. 이를 계기로 한국 정부의 통일 방안에 동조하게 되었고, 이후 한국 정부를 지지하는 단체로 전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