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民族統一協議会 |
---|---|
한자 | 民族統一協議會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일본 |
시대 | 현대/현대 |
설립 시기/일시 | 1973년 |
---|---|
원어 항목명 | 民族統一協議会 |
1972년 7월 4일 일본에서 이희원, 김금석, 배동호 등 재일 한인들이 결성한 민주화 운동 단체.
1972년 7월 4일 남북공동성명과 10월 유신의 선포는 재일본대한민국민단 내부의 갈등을 가속화시켰다. 이 시기 재일본대한민국민단은 재일대한청년단과 한국학생동맹을 산하 단체에서 배제하였으며, 재일대한청년단 위원장 곽동의를 제명 처분하였다. 이에 대해 비주류는 박정희 정권을 지지하는 집행부와 본격적으로 대립하였다. 박정희 정권이 10월 유신을 발표하자 집행부는 1973년 유신 체제를 적극 지지한다는 입장을 표명하였고, 이탈한 비류주는 반대를 주장하였다. 이 비주류에 김재화와 김대중이 동참하면서 새로운 조직을 모색하였다. 이를 계기로 자주적 통일 운동을 추진하기 위해 ‘재일본대한민국민단정상화유지간담회’를 조직하였던 이희원, 김금석, 배동호는 민족통일협의회를 결성하였다.
민족통일협의회는 한국의 민주화와 통일을 하나의 문제로 간주하고, 완전한 민주화는 통일을 최후 목적으로 하였다.
민족통일협의회는 1973년에 결성되었다.
민족통일협의회 결성은 재일 한인 중심의 자주적 통일 운동의 전환점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