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在日本大韓民国青年会 |
---|---|
한자 | 在日本大韓民國靑年會 |
영문 | Korean Youth Association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일본 도쿄도 미나토구 미나미아자부 1-7-32 중앙회관 별관 9층 |
시대 | 현대/현대 |
설립 시기/일시 | 1977년 2월 27일 |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972년 5월 2일 |
현 소재지 | 일본 도쿄도 미나토구 미나미아자부 1-7-32 중앙회관 별관 9층 |
원어 항목명 | 在日本大韓民国青年会 |
원어 주소 | 日本國東京都港区南麻布1-7-32韓国中央会館別館9F |
영문 주소 | Tokyo-to, Minato-ku, Minamiazabu1chome, 7-32, Kanoku Chuokaikan Annex F9 |
홈페이지 | http://www.seinenkai.org |
1977년 설립된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산하 재일 한인 청년단체.
재일 한인의 지위 향상과 권익을 옹호하고 조국의 근대화와 평화 통일에 기여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또 우방 청년과의 교류를 통해 세계 평화에 기여하고자 애쓰고 있다. 재일 한국인 청년들의 심신 단련과 교양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1970년대 초반 민단 산하의 한국 청년동맹이 5·16쿠데타와 박정희 군사 정권에 대해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중앙 본부와 견해를 달리하면서 1972년 7월 7일 한국 청년동맹은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산하에서 제외되었다. 이후 재일본대한민국민단은 5년의 청년 운동 공백기를 거쳐 1977년 2월 27일에 재일본대한민국청년회 중앙 본부 결성 대회를 개최하고, 윤융도를 초대 회장으로 재일본대한민국청년회가 결성된다. 대중적인 교류의 장인 섬머 잼보리와 바른 청년상 확립을 위한 ‘새마음 심기 운동’을 추진하여 재일한국청년운동의 복권을 꾀하고 내부적으로 조직을 정비하며 청년회 조직을 기초를 이루었다.
1980년대에 들어서는 외국인등록법 개정과 지문 날인 거부 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였다.
1990년대에는 재일코리아 청년 축제, 한신 대지진 긴급 물자 구호, 지방 참정권 획득 운동 등 공생을 위한 활동을 활발히 하였다.
2000년대에는 한일 교류, 남북 화합를 위한 활동으로 방향을 잡고 한류를 바탕으로 한 한일 가교 사업에 힘을 쓰는 한편, 독도를 둘러싼 영토 문제와 야스쿠니 신사 참배, 역사 인식 문제로 인해 한일간 정치적 갈등이 심화됨에 따라 다민족·다문화 공생 사회 실현을 위한 지방 참정권 획득 운동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일본 우경화에 따른 헤이트스피치 문제의 근절에 집중하며, 한일 우호 친선 운동과 시민 공개 강좌 등을 실시하고 있다.
재일 한인의 권익을 지키고 개선하기 위해 국민 연금 획득 운동을 하고 있다. 또 가미후쿠오카 삼중 사건과 일본 사회과교과서 역사 왜곡 개정 운동을 하고 있다. 지문 날인 반대 및 외국인 등록법 개정 운동, 한일 법적 지위 재협의 운동 등의 권익 옹호 운동을 하는 한편, 한국의 전통무용·사물놀이 등의 전통 예능을 배우는 문화 서클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어 강좌, 모국 방문 사업 등도 추진하고 있다.
도쿄[東京]에 중앙 본부, 교토[京都], 나라[奈良], 미야기[宮城], 사이타마[埼玉], 지바[千葉], 가나가와[神奈川], 아이치[愛知], 시가[滋賀], 오사카[大阪], 효고[兵庫], 와카야마[和歌山], 히로시마[広島], 야마구치[山口], 후쿠오카[福岡] 등 각 지방 본부를 두고 일본 전역에 걸쳐 조직적으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