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한국민주인권협의회

원어 항목명 在日韓国民主人権協議会
한자 在日韓國民主人權協議會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일본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90년 10월 16일
해체 시기/일시 2004년 3월 27일
원어 항목명 在日韓国民主人権協議会
성격 인권단체
정의

1990년 일본에서 설립된 재일 한인 인권 단체.

개설

1971년에 ‘서승·서준식 형제’의 간첩 혐의로 체포되자 재일 한인 구원 모임이 결성되기 시작하였다. 구원 모임은 처음에는 개별적으로 진행되었지만 1970년대 박정희 정권이 독재 정권을 강화하기 위해 재일 한인 간첩 사건을 연달아 조작해 냄으로써 1976년 재일 한국인 정치범 지원모임 전국 회의, 1977년 재일 한국인 정치범을 구원하는 가족·교포회 등 일본의 양심적인 시민들이 동참하는 모임까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1977년에는 이철을 구원하는 전국연락회의가 10만 명 서명 운동을 진행하였고 35개에 달하는 개별적 구원회가 재일 코리안 인권 문제를 일본 정부에 촉구하기도 하였다. 이들의 활동은 사형 선고를 받았던 재일 한인 간첩 사건 관련자 7명 석방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

설립 목적

1970~1980년대의 활동이 연루된 이들의 무죄를 밝히고 석방 운동에 매진했던 것과 달리 재일한국민주인권협의회는 민주주의와 인권이라는 토대 아래 재일 코리안으로서의 아이덴티티를 확립하면서 긍지를 갖고 살고 있는 공생 사회의 실현, 일본과 한반도를 넘어 세계의 각종 네트워크를 통한 재일 코리안 사회와 시민 사회의 발전에 공헌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변천

1970~80년대 한국의 군사 독재 정권에서 재일 동포 간첩 사건은 국내에서 안보 위기를 조장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던 방식이었고, 대다수는 장시간 후에 무죄 판결이 나면서 조작된 사건이라는 것이 밝혀지기도 하였다. 또한 1987년 한국의 민주화 물결 이후로는 그 발생 건수가 현저하게 줄어들어 과거 정권이 정치적으로 이용하였다는 반증이 되고 있다. 한편 재일 한국인 정치범 가족협의회, 재일 한국인 정치범을 구원하는 가족·교포회에서 활동을 하던 이들 중 재일 코리안 2·3세인 중심적 활동가들이 나와서 1990년 10월 16일에 설립한 재일한국민주인권협의회로 조직을 전환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주요 사업으로는 재일 코리안의 민족 교육, 외국인 노동자 지원, 전후 보상 재판 지원,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 한일 시민·NGO 교류 등 여러 분야에 걸친 사업이 있다.

현황

2004년 3월 27일 재일한국민주인권협의회민족교육문화센터, 원코리아페스티벌 실행위원회와 통합하여 코리아 NGO 센터로 거듭났다.

참고문헌
  • 『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사전』(한국학중앙연구원, 2001)
  • 『재일코리안사전』(정희선 외 옮김, 선인, 2012)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