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在日本大韓民国学生会 |
---|---|
한자 | 在日本大韓民國學生會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일본 도쿄도 미나토구 미나미아자부 1-7-32 한국 중앙 회관 별관 8F |
시대 | 현대/현대 |
설립 시기/일시 | 1981년 11월 3일 |
---|---|
최초 설립지 | 일본 도쿄도 미나토구 미나미아자부 1-7-32 한국 중앙 회관 별관 8F |
현 소재지 | 일본 도쿄도 미나토구 미나미아자부 1-7-32 한국 중앙 회관 별관 8F |
원어 항목명 | 在日本大韓民国学生会 |
원어 주소 | 日本國東京都港区南麻布1-7-32 韓国中央会館別館8F |
성격 | 학생단체 |
홈페이지 | http://www.mindan.org/www/ksaj/front/info.php |
1981년 일본 도쿄도에서 설립된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산하 학생단체.
1972년 7·4 남북 공동 성명 발표 이후, 재일 한인 사회 내에서도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계와 재일본대한민국민단계의 청년 조직은 공동 대회를 개최하는 등 본국의 통일 의지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재일본대한민국민단은 이런 움직임에 반대 의사를 표시하고 학생 동맹 및 청년 동맹의 산하 단체 인정을 취소하였다. 재일본대한민국학생회의 전신이 되는 한국학생동맹도 이 시기에 취소 처분을 받았다. 취소의 이유는 어긋난 정치 지상 주의, 폭력적 방법론, 적대 조직과의 불명확한 관계 등을 들고 있다.
하지만 1970년대 후반까지 재일본대한민국민단계 학생 조직은 부재하였고, 이런 상황에서 동포학생들은 고립·분산·동화의 과정을 겪으면서 민족 단체들과 거리를 두게 되었다. 이런 상황은 70년대 동포 학생회의 대중 조직 부재로 인해 동포 사회의 발전을 저지해 온 원인 중 하나로 꼽히기도 한다. 1970년대 후반에 재일본대한민국청년회가 전국적으로 조직되었고, 몇몇 지역에는 학생 활동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하지만 학생부는 청년부와 다른 특이성이 있으므로 이런 특징을 살린 활동을 해야 한다는 논의가 제기되었다. 동포 학생 공통의 고민과 문제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할 단체가 필요하다는 것에 의견이 모아졌고, 재일본대한민국청년회 제 2회 정기 중앙 대회인 1979년도 활동 방침에 처음으로 학생회라는 단어가 등장하였다. 학생회 결성 준비 위원회가 만들어졌고, 1981년 11월 3일 재일본대한민국학생회 중앙 본부가 결성되었다.
동포 학생 공통의 고민과 문제에 대해서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할 단체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설립되었다.
재일본대한민국학생회 선언문에는 동포 학생 사이에 공통되는 문제 해결, 고립·분산보다 연대 및 친목을 도모, 학습한 지식·기술로 동포 사회 견인, 생활 안정 및 권익 옹호 쟁취를 내세웠다. 강령에서는 ‘조국의 평화 통일과 근대화에 공헌’, ‘재일 동포의 기본적 인권 확립과 지위 향상 도모’, ‘재일 한국인 학생의 연대와 자질 향상을 도모’, ‘민족 주체성 및 학구 정신을 가져 인류 정의와 진보에 기여’, ‘국제 친선 및 세계 평화에 공헌’의 의지를 밝혔다.
재일본대한민국학생회는 친목의 장소, 자기 형성의 장소라고 단체를 규정하고 있으며, 진로와 취직에 관해 일본 기업과 동포 학생을 대상으로 한 앙케이트 조사도 실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