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일본 |
시대 | 현대/현대 |
설립 시기/일시 | 2000년 9월 |
---|
2000년 9월 재일 한인 사회와 재일본대한민국민단의 21세기 비전을 제시하기 위해 만든 전문 위원회.
2000년 3월에 치러진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중앙 단장 선거에서 후보자 김재숙은 선거 공약으로 ‘지방 참정권의 획득 및 신용 조합 문제 대처, 21세기 위원회·복지 문제 추진 위원회·조직 공로자회 설치’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김재숙은 새롭게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중앙 단장으로 선출되었다. 공약에 의거해 재일 한인 사회와 재일본대한민국민단의 21세기 비전을 제시할 목적으로 재일본대한민국민단 중앙 집행 위원회 산하의 전문 위원회인 재일동포21세기위원회가 2000년 9월에 발족하였다.
재일동포21세기위원회는 학계, 법조계, 문화인, 교육자, 저널리스트, 시민 단체, 경제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위원들이 참여하였다. 법정 투쟁을 벌인 끝에 재일 한인 최초로 사법 연수생이 되었던 변호사 고 김경득이 대표를 맡았다. 재일동포21세기위원회의 구성은 기반 조성, 조직 조성, 생활 조성, 사람 문화 조성의 4개 부회를 두었고, 포스트 지방 참정권, IT의 2개 특별 부회가 설치되었다. 재일동포21세기위원회는 2년 동안 총 56회의 부회와 9회의 부회장 회의를 개최하였고, 그 밖에 공청회로 ‘미래 포럼’을 2회 개최하였다.
2002년 9월에 여러 회의와 포럼에서 도출된 내용을 중심으로 제언을 하였다. 제시된 제언의 내용은 재일 코리안 사회의 구조적 변화에 대한 대응, 재일본대한민국민단 규약 개정, 재일 한인 역사 교과서 제작, 역사 기념관과 복지 의료에 관한 연구 자문 기관 설치, 재일본대한민국민단 회관 활용을 통한 다문화 공생 센터와 복지의 거점 형성, 민족 학교의 육성 등이다. 이 중에서 재일본대한민국민단 규약 개정은 일본 국적 취득자가 증가하는 재일 사회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것이었다. 변경된 규약은 한국 국적 재일 동포만 단원으로 인정한다는 기존의 규약에서 일제 강점기에 이주해 온 한국인의 후손이면 일본 국적 취득자라고 해도 정단원의 자격을 부여하자는 것이었다. 재일본대한민국민단의 성격도 지역 사회에서 지역 사회에서 고령자 보호, 문화 사업, 주일 외국인 권익 보호 등을 주 업무로 하는 사회 단체로 변신하는 방안도 제시하였다. 제언 중에서 재일본대한민국민단 규약 개정과 역사 교과서 제작은 실현되었다. 또한 재일한인역사자료관이 설립되어 제안 실현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