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 항목명 | 日朝国民会議 |
---|---|
한자 | 日朝國民會議 |
분야 |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일본 도쿄도 |
시대 | 현대/현대 |
설립 시기/일시 | 1973년 9월 8일 |
---|---|
해체 시기/일시 | 1992년 11월 30일 |
개칭 시기/일시 | 1983년 |
최초 설립지 | 일본 도쿄도 |
원어 항목명 | 日朝国民会議 |
성격 | 일본 사회당 계열의 북-일 연대 운동 조직 |
1973년 9월 8일 발족한 일본 사회당 계열의 북한, 일본 간의 연대 운동 조직.
일조국민회의(日朝國民會議)는 1970년대 초 중국과 미국의 화해 분위기, 1972년 ‘7·4 남북공동성명’을 배경으로 하여 1973년 9월 8일에 발족한 북-일 간의 연대 운동 조직이다. 정식 명칭은 ‘일조국교정상화국민회의’이다. 1972년 5월 22일에 일본 사회당에서는 도쿄[東京]를 비롯한 각 도(都)·부(府)·현(縣)에 일조국민회의를 설치하기로 방침을 세우고 준비에 착수하여, 이듬해에 ‘일조국교정상화국민회의’로 발족하였다. 대표 위원에는 사회당(社會黨) 위원장 나리타 도모미[成田知己], 공명당(公明黨) 위원장 다케이리 요시카츠[竹入義勝], 일본 노동조합총평의회 의장 이치카와 마코토[市川誠] 등이 이름을 올렸다.
북한과 일본 사이의 우호 연대와 국교 정상화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일조국민회의는 1973년 9월 8일에 결성되었다. ‘일조국교정상화국민회의’는 1983년 ‘일조우호연대국민회의’로 개칭되었다. 노동 운동 전선의 통일과 일본 노동조합총평의회 센터의 해산 등으로 인해 1992년 11월 30일에 일조국민회의도 해산되었다.
일조국민회의는 서명 운동 등을 통해 북-일 간의 국교 정상화 운동을 추진하였다. 예컨대 1975년 4~5월에는 사회당, 공명당, 일본 노동조합총평의회를 비롯하여 학자와 문화인 등으로 구성된 대표단을 북한에 파견하였다. 또한 조직 결성을 전후하여 일어난 ‘김대중(金大中) 납치사건’의 정치적 결착에 반대하는 운동을 전개하였다. 1976년 ‘조선의 자주적 평화통일지지 일본 위원회’가 결성되자, 일조국민회의는 1977년 이후 김대중의 원상 복귀와 재일 한인 정치범 석방 등을 중심으로 한 한-일 연대 운동에 역점을 두고 노동조합, 정당과 시민 단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였다. 1980년대 이후 외국인 등록법 개정 요구 등 재일 한인의 권익과 관련된 과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