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공산당 민족대책부

원어 항목명 日本共産党民族対策部
한자 日本共産黨民族對策部
분야 정치·경제·사회/사회·복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일본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설립 시기/일시 1949년 12월
해체 시기/일시 1955년 7월 23일
최초 설립지 일본 도쿄도
원어 항목명 日本共産党民族対策部
정의

1949년 12월 일본 공산당 중앙위원회에서 재일 조선인의 민족 문제를 담당하기 위해 설치한 전문 부서.

개설

일본 공산당 민족대책부는 1945년 8·15 이후 일본 공산당이 재일 조선인 운동을 지도하고 있던 시기에 당 중앙 위원회에서 재일 조선인의 각종 민족 문제를 담당하기 위해 설치한 전문 부서이다. 주로 재일 조선인의 민족 운동을 지도하는 기관 역할을 하였다. 민족 대책부를 주도하였던 인물은 박은철(朴恩哲)이었다. 일본 공산당 민족대책부의 전신은 전후 일본 공산당 재건대회라 할 수 있는 1945년 12월 제4회 당 대회에서 설치된 ‘조선인부’이다. 조선인부는 1946년 2월에 제5회 당 대회를 통해 당 규약에서는 공식적으로 이름이 삭제되었다. 하지만 재일본조선인연맹[일명 조련]이 1949년 9월에 해산될 때까지는 재일 조선인 운동을 지도하는 당내 기관으로 실제로 존립되었고 활동도 계속되었다. 조선인부를 계승하여 1949년 12월 상순에 결성된 조직이 바로 일본 공산당 민족대책부이다. 조선인부를 주도했던 김천해(金天海)는 1950년 6·25전쟁 직전에 북한으로 밀항하였다.

일본 공산당 민족대책부가 정식으로 당 중앙의 지하 조직 전문부로 인정받은 것은 ‘공직 추방·정치 활동 금지’ 지령을 받은 일본 공산당이 임시 중앙 지도부 구성을 발표했던 1950년 6월 7일이다.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재일 조선인만을 대상으로 한 부서로 승인된 것은 아니었지만 재일 중국인 단체가 민족대책부의 지도를 거부함으로써 실제로는 재일 조선인 운동을 지도하는 부서로 자리잡았다.

설립 목적

일본 공산당 민족대책부는 전후 초기에 일본 공산당이 재일 조선인 운동의 각종 민족 문제를 전담하여 해결하기 위해 설치하였다.

변천

1954년 8월 북한의 외상 남일(南日)이 재일 조선인에 대한 지도권이 북한에 있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한 것을 계기로 재일 조선인 운동의 노선 전환이 진행되었다. 그 결과 1955년 5월 재일조선통일민주전선[일명 민전]의 해체와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일명 조총련]의 결성이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일본 공산당은 1955년 7월 23일 제6회 전국 협의회에서 당 지도부의 개편과 더불어 일본 공산당 민족대책부의 해산을 결정하였다. 실제 해산은 그 다음날인 1955년 7월 24일부터 25일에 걸쳐 열린 일본 공산당 민족대책부 전국회의에서 이루어졌고, 이후 약 3천 명의 조선인 당원이 일제히 탈당하여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로 결집하였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일본 공산당 민족대책부는 주로 재일 조선인의 민족 운동을 지도하는 기관으로 기능하였고, 기관지로 『북극성(北極星)』을 발행하였다. 6·25전쟁 직후인 1950년 6월 28일에 일본 공산당 민족대책부는 조국방위중앙위원회를 비공식적으로 조직하여 북한에 대한 지원 운동을 전개했으며, 1951년 2월에는 대중 단체인 재일조선통일민주전선 결성을 주도하였다. 또 일본의 강화·안보 두 조약에 따라 일본 공산당은 1951년 10월에 제5회 전국 협의회를 개최하여, 자유당 정부를 타도하는 수단으로 폭력 혁명을 제안한 새 강령-이른바 ‘51년 강령’을 정식으로 채택하였다. 이에 따라 일본 공산당 민족대책부의 주요한 역할은 ‘51년 강령’을 재일조선통일민주전선 또는 조국방위위원회나 조국방위대에 침투시키고 동원하는 일에 집중되었다.

참고문헌
  • 지충남, 「재일 동포 사회의 통일 운동: 민단, 조총련, 원 코리아 페스티벌을 중심으로」(『한국민족연구논집』64, 한국민족연구원, 2015)
  • 『재일코리안사전』(정희선 외 옮김, 선인, 2012)
이전 TOP